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식품업계가 자체 브랜드를 내놓는 등 동물복지 인증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동물복지란 배고픔, 불편함, 질병, 스트레스를 줄이고 정상적인 활동이 가능한 사육환경을 제공해 사육하는 것을하는 것을 말한다.
2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동물복지사업에 가장 힘을 싣는 곳은 하림과 풀무원이다. 하림은 1790억원을 투자해 지능형 생산 공장인 ‘스마트 팩토리’ 설립에 나섰다.
또 동물복지 브랜드인 ‘그리너스’를 통해 통닭, 닭볶음탕용 등 제품 6종을 선보였다. 하림은 현재 30여개인 동물복지인증농장을 오는 2020년까지 70여개까지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풀무원은 최근 ‘바른먹거리’와 ‘건강생활’을 미래사업전략 2대 키워드로 천명했다. 동물복지인증제품은 이를 위한 세부 7대 전략 중 하나로 이미 남원시 등과 함께 친환경동물복지란 생산단지를 조성했다.
남양유업도 동물복지인증목장에서 자란 젖소에서 나온 원유로 만든 ‘옳은 유기농 우유’를 선보였다. 남양유업은 2차 가공식품인 발효유 등으로 동물복지사업을 키워나간다는 방침이다.
문제는 가격이다. 농장을 동물복지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필요대지가 넓어져 생산성이 큰 폭으로 감소하기 때문이다.
실례로 계란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현재 케이지 사육보다 더 넓은 9마리당 1㎡ 이상의 공간이 필요하다. 계사 바닥의 1/3 이상을 깔짚으로 덮어야 하며 15㎝ 이상 횟대도 설치해야한다. 그 외 입식과 출하현황, 약품, 백신구입 등 기록내용을 2년간 보관해야 조건을 갖추게 된다. 이는 자연스레 높은 제품가격으로 이어진다.
지난해 살충제 계란 파동을 겪으면서 가격에 대한 소비자들의 가격 저항심리가 많이 무너진 것은 다행이다. 실제로 지난해 농림축산식품부가 성인남녀 5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가격이 비싸더라도 구매하겠다’는 응답자는 70.1%로 나타났다. 이는 2012년 약 30%였던 긍정 응답 대비 두 배 이상 오른 수치다.
그러나 이러한 설문조사가 실제 적극적인 구매로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많다. 30%가 긍정적인 응답을 하더라도 실 구매자는 3%에 그친다는 ‘30:3론’이 그 이유다.
업계 관계자는 “돼지나 닭, 계란, 우유 등은 특히나 가격 영향을 많이 받는 품목”이라면서 “실질적으로 먹거리에 대한 위협이 다가오지 않는 이상 가격저항심리를 깨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동물복지인증상품이 시장에 안착하기 위해서는 소비자들의 구매가 선결돼야한다”고 덧붙였다.
조현우 기자 akgn@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