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유의 배당사고로 불리는 ‘삼성증권 사태’가 일단락됐다. 금융감독원은 삼성증권 배당 오류 사건과 관련해 ▲주식 거래계좌 개설 등 일부 업무에 대해 6개월 영업정지 ▲향후 2년간 신사업 잠정적 중단 ▲구성훈 대표에 대한 직무정지(3개월), 전직 대표 3명에 대한 해임권고 등의 조치를 내렸다. 징계 사안에 대해서는 증권선물위원회 심의 및 금융위원회 의결을 통해 최종 확정된다.
이번 사건은 국내 자본시장사(史)에서 유래 없는 사태였기에 금융당국의 제재 수위는 예상된 것이었다.
다만 이 사안의 모든 책임을 삼성증권 개별 업체만의 문제라고 보기엔 무리가 있다. 삼성증권 사태의 근본적인 문제는 전산 오류 보다는 주문 과정에 있어서 제대로 된 안전장치(내부 통제)가 없었다는 것이다. 이어 현금과 주식배당이 예탁결제원과 한국증권금융을 거치지 않고 이뤄졌다는 것이다.
또한 삼성증권 계열사 일감 몰아주기 의혹도 논란거리다. 앞서 금감원은 삼성증권은 전체 전산시스템 위탁계약의 72%를 삼성SDS와 맺었고, 이 가운데 수의계약 비중이 91%를 차지한다고 지적했다. 그럼에도 IT 인력 구성원은 대형사 가운데 최하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증권사별로 보면 같은 기간 삼성증권이 전산운용비용은 업계 최고인 것으로 드러났다.
즉 삼성증권 사태는 부실한 국내 금융시스템 내부 문제, 계열사 간 문제 등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이른바 내외부적으로 곪아있던 문제가 삼성증권 사태로 인해 불거진 것이다.
실적은 언제든지 다시 회복할 수 있다. 하지만 추락한 신뢰를 되돌리는 것은 쉽지 않아 보인다. 삼성증권은 그동안 초대형IB(투자은행) 사업 시행을 위해 사업 다각화를 추진해 왔다. 하이 리스크라고 불리는 부동산PF(프로젝트 파이낸싱) 금융주선도 참여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이번 악재가 터지면서 그동안 쌓아놓았던 사업 방향이 잠정적으로 중단돼 버린 것이다. 삼성증권 내부 직원들 입장에서는 허탈해 할 수 밖에 없다.
결국 남은 것은 신뢰회복이다. 삼성증권은 이번 사태가 터진 이후 투자자(고객) 피해를 최소화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당연히 취해야 할 조치다. 더 나아가 내부 시스템 개선 및 신뢰도 구축이 급선무다. 삼성SDS 일감몰아주기 의혹도 소명해야 할 문제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 식이라도 근본적인 시스템 개선이 절실하다.
삼성증권은 그동안 자산관리 명가로 불리던 증권사다. 즉 고객 자금 관리에 있어서 그 역량을 인정받은 업체인 만큼 과거 위상을 되찾기 위한 내부적인 노력을 기대해 본다.
유수환 기자 shwan9@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