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5일 (화)
'몽골 수원시민의 숲' 조성, 8년간의 기록 한 눈에

'몽골 수원시민의 숲' 조성, 8년간의 기록 한 눈에

기사승인 2018-08-10 10:05:21

 수원시는 ‘몽골 수원시민의 숲 조성 사업’의 지난 8년간 성과를 담은 '몽골 수원시민의 숲 조림사업 백서'(사진)를 발간했다고 9일 밝혔다.

 수원시는 몽골 내 사막 확산을 막고 황사를 줄이기 위해 지난 2011년 몽골 정부·(사)푸른아시아와 협약을 체결하고 아이막(道) 에르덴 솜(郡) 지역에 숲을 조성하기 시작했다. ‘수원시민의 숲’이라는 이름도 붙였다.

 2010년 현지 타당성 조사로 시작된 수원시민의 숲 조성사업은 2011년부터 2020년까지 매년 10ha 넓이에 나무 1만 그루를 심어 10년 동안 100ha 땅에 나무 10만 그루를 심는 사업이다.

 그 목표였던 ‘2020년까지 10만 그루 식재’는 2016년 조기 달성했다. 6년 동안 포플러, 버드나무, 비술나무, 차차르간, 우흐린누드 등 10만 1385주를 심었다.

 2011~12년에는 매년 1만여 주를 심었고, 2013~2016년에는 매년 2만 주가량을 심었다. 2017년 665주, 2018년 6500주를 더 심었다. 지금까지 수원시민의 숲에 심은 나무는 모두 10만 9000여 주, 7년 동안 나무를 심고, 관리하기 위해 현지를 찾은 사람은 연인원 840여 명에 이른다.

수원시는 지난해부터 수원시민의 숲에 자동 관수시설, 묘목장·퇴비장 등을 설치하며 그동안 심은 나무들이 잘 자라도록 관리하는 작업에 주력하고 있다.

 또 현지인들이 숲에 관심을 두고 관리할 수 있도록 유실수 위주로 나무 종류를 변경했다. 현지 주민에게 유실수 접목, 효과적인 나무 관리 방안 등을 알려주는 역량 강화 교육도 진행하고 있다.

백서에는 수원시민의 숲 나무 심기에 참여한 국제 자원봉사자 33명과 몽골 현지인 3명 등 36명의 생생한 체험수기·인터뷰도 실려있다.

 수원시는 백서를 유엔사막화방지협약(UNCCD) 사무국, 몽골 정부, 환경부, 환경단체, 몽골 한국대사관, 산림청그린벨트사업단 등 관계 기관·단체에 보내 수원시민의 숲 사업을 세계 곳곳에 알릴 계획이다.

 염태영 수원시장은 발간사에서 “우리 시는 체계적으로 숲을 관리할 수 있도록 시설을 확충하고, 현지 주민들이 숲을 바탕으로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수목 관리 방법을 전수하겠다”면서 “현지 주민들이 숲을 스스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지속 가능한 숲을 만드는 지름길”이라고 말했다.

수원=김동섭 기자 kds610721@kukinews.com

김동섭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트럼프 관세’가 게임업계에 불러올 딜레마

국내 게임업계가 딜레마에 놓였다. ‘보장된 시장’ 중국과 ‘기회의 땅’ 미국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한 것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 때문이다.15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 정책이 게임업계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행정부는 중국에 최대 145%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반도체 등 전자제품 상호관세 여부는 불명확하지만, 대(對) 중국 기조가 거세짐에 따라 관세 범위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