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19년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 진단조사’ 결과를 14일 발표했다.
여성가족부는 ▲초등 4년 ▲중등 1년 ▲고등 1년 등 전국 학령 전환기 청소년 128만여 명 대상으로 이번 조사를 실시했다. 여가부는 지난 2009년 이후 매년 진단조사를 실시해오고 있다.
조사를 통해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으로 진단된 청소년은 부모의 동의를 받아 맞춤형 상담과 치유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다.
참고로 ‘위험사용자군’은 일상생활에서 심각한 장애를 겪고 금단 현상을 보여 전문기관의 도움이 필요한 수준을 의미하며, ‘주의사용자군’은 사용시간이 점점 늘어나고 자기조절에 어려움이 있어 주의가 필요한 단계다. ‘과의존위험군’은 ‘위험사용자군’ 과 ‘주의사용자군’의 합계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인터넷과 스마트폰 중 하나 이상에서 위험군으로 진단된 청소년은 20만6102명으로 나타났다. 두 문제를 모두 갖고 있는 청소년은 7만1912명이었다.
인터넷 과의존 위험군은 매년 증가 추세이며, 스마트폰 과의존 청소년보다 인터넷 과의존 청소년이 더 많았다. 인터넷 과의존 위험군은 15만4407명으로, 이 중 위험사용자군은 1만4790명, 주의사용군은 13만9617명이다.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은 12만3607명으로, 이중 위험사용자군은 1만4456명, 주의사용군은 10만9151명이다.
전 학년에 걸쳐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청소년이 증가했다. 중학생이 7만6706명으로 가장 많았고, 고등학생 7만3052명, 초등학생 5만6344명) 순이었다. 특히 초등 4학년은 최근 3년간 과의존 위험군 수가 증가하는 등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저연령화 추세가 지속됨을 보여줬다.
여자 청소년의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증가가 두드러졌다. 초등 4학년의 경우 남자청소년이 더 많았지만, 중‧고등 시기에는 인터넷과 스마트폰 모두 여자 청소년이 더 많았다. 여가부는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청소년의 전반적인 증가 원인을 최근 인터넷‧스마트폰을 이용한 1인 미디어, 실시간 방송, 유튜브 등 청소년이 이용하는 미디어 콘텐츠 변화에 따른 것으로 추정했다.
여가부는 관계기관과 협력해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청소년의 유형별, 연령별, 성별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정책을 편다는 계획이다.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과 전국 청소년상담복지센터 220여개를 중심으로 정신건강증진센터, 건강가정지원센터, 치료협력병원 연계 등을 통해 상담과 병원치료, 사후관리 등의 서비스를 제공키로 했다.
관련해 일반계층은 최대 30만원, 저소득 계층 최대 50만원까지 치료비가 지원된다. 위험 단계별로 개인상담과 집단상담을 지원하고, 위험군 청소년에게는 공존질환 추가검사를 실시하고 발견 시 의료기관 치료를 연계했다.
인터넷‧스마트폰 치유캠프와 가족치유캠프 등 치유프로그램도 운영된다. 아울러 학기 중 치유가 필요한 청소년을 위해 국립청소년인터넷드림마을도 운영키로 했다. 올해는 초등학교 1∼3학년 청소년 대상 전문 상담‧치유프로그램도 선뵌다. 여자 청소년의 과의존 증가를 고려해 성별 특성에 맞는 전문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여자 청소년 대상 치유 프로그램을 지원키로 했다.
여가부는 진단조사에 참여하지 못한 학생들을 위해 지역사회 돌봄 기반시설과 함께 모바일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 진단조사를 운영하기로 했다.
최성지 여가부 청소년정책관은 “이번 조사는 객관적 지표를 통해 청소년들에게 자신의 이용습관을 되돌아보게 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청소년들의 특성을 고려한 전문적 상담과 치유서비스를 제공해 과의존 초기부터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매체 역기능으로부터 청소년을 보호하고 청소년이 균형적 일상생활을 회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양균 기자 angel@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