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조숙증’으로 2017년 진료 받은 환자는 9만5000명으로 2013년에 비해 연평균 9.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조숙증(조발사춘기)은 다른 또래 아이들 보다 2차 성징(사춘기의 신체적인 변화)이 2년 정도 빠른 것을 성조숙증이라고 한다. 2차 성징이 여아는 8세 이전에, 남아는 9세 이전에 시작되는 경우를 성조숙증으로 진단한다.
성조숙증인 경우 성장판이 일찍 닫혀 성인키가 작을 확률이 높으므로 부모가 아이의 상태를 주의깊게 관찰해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3~2017년 성조숙증질환 환자를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5년간 2013년 대비 42.3%(연평균 9.2%) 증가했다. 특히 남아 환자의 연평균 증가율이 12.8%로 여아환자(연평균 8.9%)보다 증가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 동안 건강보험 가입자 중 ‘성조숙증’질환으로 요양기관을 방문한 진료인원은 2013년 6만7021명에서 2017년 9만5401명으로 연평균 9.2%(28,380명) 증가했다.
성별 진료실 인원은 남아는 2013년 5935명에서 2017년 9595명으로 연평균 12.8%(3,660명) 증가했고, 여아는 2013년 6만1086명에서 2017년 8만5806명으로 연평균 8.9%(2만4720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최근 남아환자 연평균 증가율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7년 기준으로 성별 인원을 살펴보면, ‘성조숙증’ 질환 진료인원은 전체 9만5000명 중 약 8만5000명(89.9%)이 여아 환자이며, 이는 남아 환자 9500명 대비 8.9배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아청소년과 정인혁 교수는 “최근 우리나라 환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진성 성조숙은 여아에서 급격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최근 발표된 미국 연구와 일부 유럽 연구에서도 같은 결과”라며 “원인으로는 산업화에 따른 환경오염, 식생활 변화에 따른 비만 그리고 빠른 사춘기의 가족력 등이 지목되고 있다. 남아의 경우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여아에 비해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남아의 경우 역시 환경오염, 비만, 가족력 등이 주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국내외 연구들에서 여아의 경우 성조숙증의 유병률은 같은 기간 조사된 남아에 비해 10~30배 정도 높게 나타나는데 여아에게 이렇게 많이 나타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한 설명이 어렵다. 하지만 여성 호르몬과 비슷한 환경 호르몬이 많이 발견 된다는 점, 비만의 경우 지방 세포에서 여성호르몬을 분비한다는 점 등이 남아에서보다 여아에게 더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들이라 생각된다”라고 설명했다.
성조숙증으로 요양기관을 찾는 연령은 여아의 경우 5~9세 이하, 남아의 경우 10~14세 이하에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기준 연령대별 진료현황을 살펴보면, 성조숙증 전체 진료인원 중 5~9세 이하가 5만2000명(55.5%)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10~14세 이하 4만1000명(43.3%) 순이었다.
진료인원은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였는데 여아는 5~9세 이하가 59%(50,615명)로 진료인원이 가장 많았고, 남아는 10~14세 이하가 71.1%(6,821명)로 진료인원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 적용인구 대비 진료인원 수를 분석한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을 살펴보면, 2017년 기준으로 5~9세 이하 연령대 100명 중 약 2.3명, 10~14세 이하 연령대 100명 중 약 1.8명이 성조숙증으로 요양기관을 방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을 성별로 비교해 보면, 2017년 기준 여아는 5~9세 이하 연령대가 4489명으로 가장 많았고, 남아는 10~14세 이하 연령대가 576명으로 가장 많았다. 연평균 증가율은 남아가 12.3%로 여아 8.3%보다 다소 높았다.
정인혁 교수는 “여아의 경우 실제 성조숙 증상(가슴발달, 머리냄새 변화, 음모 시작 등)이 많아지고 있어 의료기관을 찾는 경우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이나, 남아의 경우 의료기관을 찾는 주 연령대가 10세 이후로 실제 성조숙증이 아닌 키 성장에 대한 걱정으로 의료기관을 찾는 경우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라고 설명했다.
성조숙증의 전체 진료비를 살펴보면, 2013년 354억원에서 2017년 499억원으로 145억원이 증가했고, 연평균으로는 8.9% 증가했다.
약국과 외래 전체 진료비는 각각 연평균 15.5%, 9%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약국 1인당 진료비가 최근 5년간 가장 높은 증가추세(연평균 2.1%)를 보이고 있으며, 입원, 외래 1인당 진료비는 각각 연평균 0.5%, 0.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기준 성조숙증으로 요양기관을 방문한 진료인원 중 전체의 65%에 해당하는 7만5000여명이 종합병원에서 진료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의원 14%(1만6543명), 병원 10%(1만1836명) 순이었다.
정인혁 교수는 “성조숙증 확진을 위해서는 성선자극호르몬 검사와 필요한 경우 머리 MRI 촬영 그리고 초음파 검사가 필요하며 최종적으로 소아 내분비 전문의 판단이 필요한다. 현재 소아 내분비 전문의가 상주하는 병원은 주로 종합병원 이상으로 최종 판단을 위해 상급 기관으로 의뢰 되는 경우가 많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성조숙증 당사자는 조기 골단 융합으로 최종 성인 신장이 작아지며, 신체적 정신적 불안의 문제와 성적 학대의 대상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여아의 경우 초경이 빠를 경우 유방암의 위험이 증가하며 불임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조민규 기자 kioo@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