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1일 (수)
어린이집 종사자 18.6% 잠복 결핵, 결핵 발병 막으려면

어린이집 종사자 18.6% 잠복 결핵, 결핵 발병 막으려면

기사승인 2019-06-20 17:05:06 업데이트 2019-06-20 17:05:44

어린이집 종사자의 18.6%가 잠복 결핵 상태로 나타나 아이 부모들의 걱정이 커졌다.

지난해 2만6000명의 결핵 신규환자가 발생했고 1800명이 결핵으로 사망했을 만큼 우리나라에서 결핵은 치명적인 질병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결핵은 잠복 시기에 관심을 가지고 치료하면 충분히 예방할 수 있는 질환으로 잠복 결핵 시기에 치료하면 결핵 전파 위험을 최대 90%까지 차단할 수 있다.

질병관리본부의 ‘2018년 집단시설 종사자 등 잠복 결핵 감염 검진사업 결과’에 따르면 어린이집 종사자의 18.6%가 잠복 결핵 상태로 나타났다. 결핵은 호흡기로 쉽게 전파되는 질환이라서 어린이집 종사자는 결핵예방법에 따라 주기적으로 검진을 받고 있다. 주기적인 검사를 통해 잠복 결핵을 조기 발견하면 예방관리를 통해 결핵으로 발병할 위험도 줄이고 다른 사람에게 결핵을 전파할 위험도 차단할 수 있다.

잠복 결핵은 몸속에 들어온 결핵균이 몸의 방어면역체계에 의해 결핵으로 진행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몸 안에 결핵균이 있지만, 균이 활동하지 않아서 결핵이 발병하지 않은 것이다. 흉부 X선 검사에서도 정상으로 나오고 결핵 증상도 없다. 따라서 잠복 결핵 감염자가 기침·재채기를 해도 공기 중으로 결핵균이 배출되지 않아 다른 사람에게 감염시키지 않는다.

결핵균에 감염되면 감염 후 2년간은 결핵의 발병 위험이 커 잠복 결핵 감염으로 진단받은 후 최소 2년까지 연 1회 흉부 X선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결핵의 증상은 ▲2주 이상 기침 지속 ▲가래 ▲발열 ▲수면 중 식은땀 ▲특별한 이유 없이 체중감소 등이므로 만약 잠복 결핵 판정 2년 이내에 이러한 증상이 나타난다면 결핵을 의심하고 병원을 찾아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장복순 강동경희대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잠복 결핵 감염자가 흡연·음주·당뇨·영양 결핍 등으로 몸의 면역이 떨어질 경우, 10~20% 확률로 결핵으로 발병하게 된다”며 “결핵 예방을 위해 면역력을 떨어뜨릴 수 있는 요인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노상우 기자 nswreal@kukinews.com

노상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룰러’ 박재혁의 웃음 “쵸비 펜타킬? 다음엔 안 줘”

‘룰러’ 박재혁이 ‘쵸비’ 정지훈에게 펜타킬을 주지 않겠다고 웃으며 말했다.젠지는 21일 오후 5시 서울 종로구 롤파크 LCK 아레나에서 열린 ‘2025 LCK’ 정규시즌 2라운드 한화생명e스포츠와 경기에서 풀세트 접전 끝에 세트스코어 2-1로 승리했다. 15연승을 질주한 젠지는 2위 한화생명과 격차를 3경기 차로 벌리며 선두 자리를 굳건하게 지켰다. 또 21세트 연속 승리로, LCK 세트 최다 연승 신기록을 경신했다. 종전 기록은 2024년 젠지가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