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남원읍성 북문지 안팎으로 통일신라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시기 건물지 관련 유구가 집중적으로 분포돼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통일신라~고려시대 문화층의 존재가 확인돼 통일신라시대 5소경 가운데 하나인 남원소경의 실체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3일 남원시에 따르며 지난해 12월부터 올 6월까지 남원읍성 북문지 바깥쪽과 안쪽 중앙공원(현 만인공원) 조성사업 부지에 대한 매장문화재 시굴조사를 벌였다.
만인공원 매장문화재 시굴조사는 재단법인 전라문화유산연구원(원장 천선행)이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의 허가를 받아 실시했다.
시는 명확한 확인을 위해 발굴조사로 전환해 유적 성격규명과 남원소경의 단서를 밝혀나갈 계획이다.
남원읍성은 현재까지 전해지는 우리나라 읍성 가운데 통일신라시대 방리구획이 가장 잘 남아 있어 고대도시 형태를 파악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유적이다.
그간 통일신라시대 남원경과 연관 지을 수 있는 유적이 확인되지 않아 남원소경의 존재는 베일에 가려져왔다.
고대도시 방리구획과 관련된 국내 유적 발굴조사는 통일신라시대 왕경이었던 경주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지방도시로는 사벌주의 상주 복룡동유적 등 소수에 불과하다.
방리구획(坊里區?)은 바둑판형태로 만들어진 고대 도시계획의 설계구조를 말한다.
그러다 이번에 남원 만인공원부지 시굴조사에서 통일신라~고려시대 유적의 존재가 확인됨에 따라 남원소경과 관련한 논의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 조사를 통해 후백제시기의 기와를 비롯해 초기 청자의 하나인 해무리굽 청자도 출토돼 남원읍성의 시공간적 범위와 학술적 가치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한편, 문헌기록에 따르면 남원읍성은 통일신라시대(691년)에 처음 축조된 9주 5소경 가운데 5소경의 하나인 남원경의 치소로 사용됐다. 조선시대 현재와 같은 규모로 개축된 것으로 전해진다.
방리구획(坊里區畫)은 바둑판형태로 만들어진 고대 도시계획의 설계구조를 말한다.
남원=박용주 기자 yzzpark@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