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0일 (목)
[금진호의 경제톡톡] 새해에 생각해 보는 ‘고난과 성장’ 이야기

[금진호의 경제톡톡] 새해에 생각해 보는 ‘고난과 성장’ 이야기

기사승인 2020-01-06 09:56:27

새해가 밝았다. 새해는 새로 시작되는 한 해를 말한다. 많은 문화권에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새해를 축하한다. 오늘날 전 세계 대부분에서 사용하는 새해의 시작은 1월 1일로, 고대 로마력의 영향을 받아 사용하며 대부분 많은 국가에서는 새해의 시작인 1월 1일을 공휴일로 정하고 있다. 연말에는 늘 그렇듯 아쉽고 섭섭 하지만 새해가 되면 새로운 것을 계획하고 시작하는 생각이나 다짐을 한다. 한 해를 계획하며 무엇을 시작하고 선택할지, 그리고 무엇을 준비하고 도전할지 생각하는 것이다. 그러기에 새해 첫 일출을 보기도 하며 새해 다이어리에 다짐의 글을 적기도 한다.

올해는 무엇을 시작할까! 우리는 늘 선택의 기로에 있다. 때로는 그 선택이 인생의 방향을 결정짓기도 한다. 수십 번 검토하며 고민하다 결정을 내려야 할 때도 있다. 순간의 선택이 평생을 좌우할 것이라고 여겨져 스트레스로 다가오기도 하고, 여기저기에 상담을 받으러 다니기도 하며, 밤잠을 설치며 고민도 한다. 정말 선택이 어렵고 중요한 순간들이다. 이 선택이 한 해나 한 해의 방향을 좌우할 중대한 사안일수록 더 결정이 고통스럽고 신중하다. 그렇다고 중대한 결정만이 미래를 결정하는 것은 아니다. 우리가 하찮게 여기며, 특별한 생각 없이 이루어지는 수많은 선택도 우리의 삶을 결정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점심의 메뉴는 무엇으로 할 것인가, 엘리베이터를 탈 것인가 아니면 계단을 이용할 것인가 등등 수 없는 선택을 한다. 하루에도 수십 번의 선택의 중심에 서 있게 되고, 대수롭지 않게 선택하지만, 그 짧고 사소한 선택이 쌓이면서 나의 미래는 결정된다.

운동을 시작할 것인가 말 것인가의 선택이 이후의 건강을 좌우하며, 책을 읽을 것인가 말 것인가의 선택이 삶의 가치관을 결정한다. 중요한 것은 귀찮고 별것 없어 보이는 선택일지라도, 그 선택이 모여 지금의 나를 만들었다. 예를 들어, 스트레스가 많은 날 체중을 측정했는데, 체중이 기대만큼 감소하지 않을 때 폭식을 하거나, 고칼로리 음식을 먹으며 불편한 선택을 한다. 그리고 곧 다이어트를 포기하고, 건강하지 않은 생활로 다시 돌아가곤 한다. 이처럼 습관적으로 내린 의사결정이 성장을 방해하고 부정적인 결과를 낳는다.

새해에 나는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무심코 습관에 따라 한 선택이 관계를 망가트리거나, 성장을 방해한 것은 아닌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산다는 것은 선택과 책임의 두 굴레로 돌아가는데, 우리가 서 있는 현재는 과거의 수 없는 선택의 결과이기도 하다. 그러니 다소 번거롭고 귀찮을지라도 더 나은 삶을 향해 가고 싶다면, 조금이라도 ‘성장’을 하기 위한 선택을 했으면 한다. 오늘 내린 그 결정이 후회스럽지 않은 삶의 시작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성장이란 신체적 발달과 같은 의미도 있지만, 사람의 성품, 능력, 신념, 태도 등이 사회적 환경에 적응하여 위상이 변화되고 목표를 성취하며 나아가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우리는 고개를 숙일 때 성장한다. 어려움 없이는 성장이 없기 때문이며 내가 가장 똑똑하지 않기 때문이다. 가슴을 울리는 겸손의 힘도 필요하다. 겸손은 야심이 없는 것이 아니라 겸손하지 않으면 성장할 수 없다. 새해가 시작되었다. 아무 수고가 없어도, 어떤 노력이 없어도 시간은 지나간다. 오늘 선택한 그 결정은 아마도 올해의 삶을 달리 변화시켜 놓을 것이다. 한 해를 시작하는 1월, 너무 거창하게 한 해를 계획하기보다 내가 당장 실행할 수 있는 작은 성장의 씨앗을 심는 시작이 되었으면 좋겠다. 그리고 올해의 성장을 위해서 의미 있는 새해가 되었으면 한다.

금진호(목원대학교 겸임교수 / 한국연금개발원 연구위원) 



홍석원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슬의생’과 달라”…전공의 파업 속 ‘언슬전’ 공개, 시청자 처분만 남았다

의료대란 여파로 1년여 표류한 ‘언젠가는 슬기로울 전공의생활’이 마침내 시청자를 만난다. 슬기로운 ‘99즈’의 일상 대신 슬기로울 ‘응애즈’의 성장이 감동을 선사할 전망이다. ‘보호자’를 자처한 신원호 크리에이터의 바람대로, 이들의 진심이 곡해되지 않고 안방에 고스란히 전달될 수 있을까.10일 서울 신도림동 라마다호텔에서 tvN 새 토일드라마 ‘언젠가는 슬기로울 전공의생활’(이하 ‘언슬전’, 연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