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7일 (월)
피로의 원인은 뇌? ‘푸르설티아민’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피로의 원인은 뇌? ‘푸르설티아민’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기사승인 2020-03-27 17:20:43 업데이트 2020-03-27 17:26:04

 

[쿠키뉴스] 김영보 기자 = 흔히 ‘피곤하다’라고 하면 육체 피로를 생각하지만, 각종 스트레스에 노출되는 뇌 역시 피로를 느낀다면 어떨까?

워싱턴대 의대 마커스 라이클(Marcus Raichle) 교수는 휴식이나 수면 중에도 뇌의 특정 부위가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밝혔다. 인간에게는 단 1초도 쉬지 않는 DMN(Default Mode Network,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가 존재하며, 아무런 생각을 하지 않고 휴식을 취할 때 이 네트워크가 활성화된다는 것이다.

실제 ‘에너지 낭비꾼’이나 ‘뇌의 암흑 에너지’라고 불리는 DMN이 뇌 전체 에너지 소비량의 60~80%를 차지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또한 DMN을 통제하지 않으면 뇌의 피로에서 벗어날 수 없고, 뇌 피로가 가속화되면 만성피로로 이어질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2016년에는 예일 생물학·의학저널(Yale Journal of Biology and Medicine)에 실린 논문은 DMN 영역이 비활성화되면 자폐증과 우울증, 알츠하이머병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사실을 밝힌 바 있다. 알츠하이머 환자의 DMN 영역에서 지속해서 비활성화가 관찰된다는 사실도 입증됐다.

즉, 아무리 쉬어도 피로가 풀리지 않는다면 ‘뇌의 피로’를 고려해야 하며, 알츠하이머를 예방하고 젊은 뇌를 유지하기 위해서 뇌 피로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뇌 피로를 관리하는 간단한 방법은 비타민B1을 섭취하는 것이다. 지속해서 에너지를 사용하는 뇌에 에너지를 공급하면 뇌의 피로를 관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피로 회복 효과가 우수한 비타민B1은 당 대사에 관여하여 에너지 생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각종 비타민의 대사에도 직∙간접적으로 작용하기에 매우 중요한 비타민이다.

다양한 비타민B1 중에서도 ‘푸르설티아민(fursultiamine)’이 효과적이다. 푸르설티아민은 에너지의 생성에 관여하는 활성형 비타민B1으로, 체내에서도 지용성을 유지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래서 수용성인 티아민염산염, 티아민질산염 등 일반 비타민B1보다 약 4배 높은 체내 흡수성을 자랑한다.

아울러 뇌혈관 세포벽을 잘 통과하는 특성상 피로회복 효과를 즉각적으로 느낄 수 있으며, 뇌세포막에 작용해 육체적 피로와 정신적인 피로를 함께 개선할 수 있다. 한 연구에서는 12주간 푸르설티아민을 고함량(100mg/day) 복용한 알츠하이머 환자들이 인지기능 및 감정 증상의 향상 효과가 있다는 결과를 얻기도 했다.

시중 제품들 중에는 일동제약의 ‘아로나민 골드’가 푸르설티아민을 담았다. 활성비타민B1, B2, B6, B12 4종과 비타민C, 비타민 E는 잘 알려졌지만, 푸르설티아민은 의외로 잘 알려지지 않았다.

푸르설티아민은 식약처로부터 비타민 B1 결핍증의 예방 및 치료 등에 사용할 수 있음을 허가받았으며, 만성피로와 섬유근육통을 포함한 만성 통증, 잦은 음주(알코올성 뇌 질환), 정신적 스트레스, 불면증 등에 사용한다.


kim.youngbo@kukinews.com

김영보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봉준호 ‘미키17’, 개봉 한 달 만에 美극장서 내린다…7일부터 스트리밍 서비스

봉준호 감독의 할리우드 영화 ‘미키 17’ 극장 개봉 한 달 만에 손실을 안은 채 상영을 종료하고 온라인 스트리밍 플랫폼으로 가게 됐다.6일(현지시간) 미국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의 신작 목록에 따르면 '미키 17'은 오는 7일 오후 9시(미 서부시간)에 온라인 스트리밍 플랫폼에서 공개될 예정이다.미 경제매체 포브스에 따르면 미키 17은 애플TV와 판당고 등 다른 여러 스트리밍 플랫폼에서도 볼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이 영화는 극장 상영을 마무리하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