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 조진수 기자 =문재인 정부 들어 일자리 사정이 나빠졌다고 응답한 비율이 49.1%인 것으로 조사됐다. 문 정부의 최대 과제인 일자리 창출과 반대되는 흐름이다.
쿠키뉴스 의뢰로 여론조사기관 데이터리서치가 지난 6일부터 7일까지 양일간 전국에 거주하는 만18세 이상 유권자 1250명을 대상으로 ‘현정부 들어 일자리 사정은 어떻다고 생각하는지’를 물었다. 전체 응답자 중 49.1%가 나빠졌다(매우 나빠졌다 34.4%, 조금 나빠졌다 14.7%)고 답했다. 반대로 나아졌다는 응답은 24.7%(매우 많이 나아졌다 9.3%, 조금 나아졌다 15.4%)에 그쳤다. 이밖에 비슷하다는 응답은 23.2%, 잘 모름은 3.0%였다.
연령별로는 50~60대 이상에서 ‘나빠졌다’는 평가가 과반을 넘었다. 50대 51.7%%, 60대 이상 55.5%%, 30대는 48.7%다. 18세~20대와 40대는 각각 47.3%, 39.0%로 조사됐다. ‘나아졌다’는 평가는 40대에서 가장 높았다. 40대 응답자 중 34.0%가 문 대통령의 일자리 사정이 ‘좋아졌다’고 봤다. 30대 26.8%, 50대 22.5%, 18세~20대 21.4%, 60대 이상은 20.7%다.
지역별로는 강원도와 대구·경북, 부산·울산·경남에서 ‘문 정부의 일자리 사정이 나빠졌다’고 평가했다. 강원도 64.2%, 부산·울산·경남 63.8%, 대구·경북 63.4%로 60%를 넘었다. ‘일자리 사정이 좋아졌다’는 응답은 호남에서 42.7%로 가장 높았다. 이어 인천·경기 26.5%, 서울 25.0% 충청 22.1%순이였다.
정치 성향별로는 보수적이라고 답한 응답자 중 75.3%가 ‘문 정부 일자리 사정이 안좋다’고 밝혔다. 진보적이라고 답한 응답자 중 44.8%는 일자리 사정이 나아졌다고 대답했다. 중도성향은 ‘일자리가 나아졌다’ 18.4%, ‘나빠졌다’ 55.4%로 나타났다.
문 정부 최저임금 인상 이후 취업기회는 더 줄어든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 중 42.8%는 ‘더 줄었다’고 답했다. 반면 취업기회가 ‘늘었다’는 답변은 17.7%에 불과했다.
성별로는 남자 43.5%, 여자 42.1%가 취업기회가 ‘줄었다’고 답변했다. 반면 ‘늘었다’는 답변은 남자 17.6%, 여자 17.8%로 집계됐다.
연령별로는 18세~20대 48.3%, 60대 이상이 46.6%로 취업기회가 ‘줄었다’고 답했다. 지역별로는 충청권이 56.7%로 가장 높았다. 부산·울산·경남 52.5%, 대구·경북 50.7% 순이였다. 반면 취업기회가 ‘늘었다’고 답한 비율은 40대가 22.2%로 높았다. 지역에서는 제주권이 30.2%, 호남권 27.6%순이였다.
기업에 있어서도 최저임금 인상이 부담을 줬다는 응답자가 전체의 63.9%를 차지했다. 반면 부담이 없다는 비율은 30.1%로 조사됐다.
세부적으로 보면 ‘최저임금이 기업경영에 부담을 주고 있다’는 응답은 여성(64.9%), 60대 이상(72.1%), 충청권(68.2%), 보수성향(79.9%)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반면 ‘부담이 없다’는 응답은 남성(32.3%), 40대(38.9%), 호남권(36.2%), 진보성향(50.2%)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한편 문 정부에서 기업활동 자유 보장에 대해서는 ‘보장하고 있다’와 ‘보장하고 있지 않다’가 각각 45.7%, 42.4%를 나타냈다.
전체 응답자 중 45.1%가 ‘보장하고 있다’(매우 많이 보장하고 있다 21.8%, 조금 많이 보장하고 있다 23.9%)고 답했다. 반대로 ‘보장하지 않고 있다’ 응답은 42.4%(전혀 보장하지 않고 있다 17.0%, 별로 보장하지 않고 있다 25.4%)에 그쳤다. 이밖에 잘 모름은 11.9%였다.
세부적으로 보면 ‘보장하고 있다’는 응답은 남성(46.4%), 40대(57.1%), 호남권(66.5%), 진보성향(75.0%)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반면 ‘보장하지 않고 있다’는 응답은 60대 이상(47.1%), 강원권(62.9%), 보수성향(66.9%)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번 여론조사는 쿠키뉴스 의뢰로 데이터리서치센터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ARS(무선 80%, 유선 20%)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응답률은 6.1%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8%p다. 림 가중은 2020년 1월말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를 기준으로 성별·연령별·지역별 가중값을 산출·적용됐다.
rokmc4390@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