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 배성은 기자 = 현대자동차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8638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4.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2분기부터 코로나19 여파가 본격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실적악화가 불가피 한 상황이다.
현대자동차는 23일 서울 본사에서 2020년 1분기 경영실적 발표회를 갖고 2020년 1분기 실적이 ▲판매 90만 3371대 ▲매출액 25조 3194억 원(자동차 19조 5547억원, 금융 및 기타 5조 7647억 원) ▲영업이익 8638억원 ▲경상이익 7243억원 ▲당기순이익 5527억원(비지배지분 포함)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한 수요 위축 및 공장 가동 중단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 판매는 감소했지만 원화 약세의 우호적 환율 환경, 제품 믹스 개선 등의 영향으로 매출액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현대차 관계자는 "앱티브 합작법인과 관련한 약 1,000억 원의 기타 매출이 발생한 것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1분기 영업이익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코로나19로 인한 글로벌 실물경제 침체 및 수요 하락 영향이 2분기부터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돼 이에 따른 수익성 하락이 불가피할 것”이라며 “당사는 이와 같이 어렵고 불확실한 경영 환경 속에서도 향후 글로벌 수요 회복 시점에 맞춰 빠른 회복이 가능하도록 유동성 관리 강화, 적정 재고 수준 유지 등 모든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판매의 경우 글로벌 시장에서 90만 3371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기와 비교해 11.6% 감소한 수치다.
국내 시장에서는 더 뉴 그랜저, GV80 등 신차 판매 호조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로 인한 국내공장 생산 중단, 투싼 등 일부 차종 노후화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대비 13.5% 줄어든 15만 9061대를 판매했으며, 해외 시장에서는 중국, 인도, 유럽 등의 수요 감소로 전년 동기대비 11.1% 감소한 74만 4310대를 판매했다.
매출액은 글로벌 도매 판매 감소에도 불구, 원·달러 가치가 지난해 1분기 1125원에서 올해 1분기 1193원으로 크게 하락하는 등 원화 약세의 우호적 환율 환경이 적용하며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다.
또, 신차 및 SUV 중심의 제품 믹스 개선, 미국 시장 인센티브 축소 등도 자동차 부문 매출 증가에 기여했고, 금융 및 기타 부문 매출도 성장했다. 그밖에 일회성 요인으로 앱티브 합작법인 현물출자 관련 기타 매출 발생도 있었다.
매출원가율은 글로벌 SUV 차급 비중 상승에 따른 믹스 개선 효과 지속과 전사적인 원가 혁신 노력, 여기에 원화 약세 등의 긍정적 영향이 더해지며 전년 동기대비 0.5%포인트 낮아진 83.2%를 나타냈다.
영업부문 비용은 잇따른 신차 출시에 따른 마케팅 비용 상승 등으로 전년 동기대비 10.2% 증가한 3조 4015억원을 기록했다.
그 결과, 2020년 1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대비 4.7% 증가한 8638억원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률은 전년 동기와 같은 3.4%를 나타냈다.
경상이익은 관계기업 손익 악화 및 외화 관련 손익 감소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대비 40.5% 줄어든 7243억원을 기록했으며, 순이익은 5527억원을 나타냈다.
현대차 관계자는 “코로나19의 영향이 본격화되는 1분기 이후부터 판매 급감에 대비해 유동성 및 적정 재고 관리 등 손익 악화를 최소화하는데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설명했다.
현대차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부정적인 영향이 2분기부터 본격화되고 이에 따라 자동차 산업 환경의 불확실성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자동차 수요 하락에 따른 수익성 악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국제 유가 변동성이 크게 확대되면서 선진국뿐 아니라 신흥국 판매 회복을 지연시킬 수 있어, 판매 회복에 대한 전망은 그 어느 때보다도 불투명한 상황이다.
현대차는 향후 수요 및 판매 전망과 관련하여 내부적으로 다양한 시나리오를 검토하고 있으며, 빠른 경영 안정화를 위한 위기대응 시스템을 구축하고 유동성 리스크 관리, 전략적 재고 및 판매 운영, 유연한 생산체계 구축, 안정적인 부품 공급을 위한 다양한 활동들을 추진할 계획이다.
우선 상대적으로 판매가 견조한 내수시장에서의 신차 판매 확대와 제품 믹스 개선을 지속 추진하고, 효율적 재고 관리와 인센티브 운영, 신차 및 SUV 위주의 공급 확대를 통해 해외시장에서의 실적 악화를 만회할 계획이다.
sebae@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