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7일 (월)
어쩌면 올지 모를 미래… 코로나19 글로벌 세컨드 웨이브가 발생하면?   

어쩌면 올지 모를 미래… 코로나19 글로벌 세컨드 웨이브가 발생하면?   

[코로나19 세컨드 웨이브] ①근미래 디스토피아 될 것인가… 경제 고립·보건안보 잿빛 미래 경고등

기사승인 2021-01-06 12:23:51
김양균 기자
angel@kukinews.com

[쿠키뉴스] 김양균·박시온·이희정·심신진 = 코로나19 세컨드 웨이브(COVID-19 Second Wave), 즉 전 지구적 2차 대유행이 발생한다면 한국을 비롯한 세계시민의 삶은 어떻게 바뀔까. 

지난해 3월11일 세계보건기구(WHO)가 코로나19 팬데믹 선언을 한 이후 확산을 멈출 최후의 해결책인 ‘백신’의 개발은 전례 없이 빠르게 진행됐다. 감염병 발생 1년이 지났지만, 전 세계로의 백신 공급이 완료되기까지 아직 갈 길은 멀다. 때문에 바이러스 확산은 여전히 진행형이며, 지금 이 순간에도 다수의 확진자와 사망자가 속출하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와 봉쇄는 가장 원시적이지만 감염병을 차단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예방법이다. 이에 따라 항공기는 운항을 멈췄고, 국경 및 지역 간 이동을 차단하는 락다운(Lockdown)도 속속 진행됐다. 강력한 봉쇄 조치에 힘입어 확산이 다소 진정되자, 여러 국가는 하나, 둘 경제적 이유 등을 들어 봉쇄를 풀고 감염병 경계 단계를 낮췄다.
 

경계 완화 조치와 함께 다시 증가하기 시작한 확진자 곡선은 지난해 말 북반구의 겨울을 시작으로 다시 가파르게 올랐다. 미주와 서유럽을 중심의 급격히 확산 상황에서 우리나라도 예외가 될 수는 없었다. 

이미 세컨드 웨이브의 전조를 경고하는 과학자와 언론보도에도 불구,  WHO가 세컨드 웨이브를 선언할 가능성은 희박하다. 또다시 팬데믹 선언이 전 세계적 정치·경제에 미칠 치명적인 파장을 우려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말 세컨드 웨이브가 시작된다면 우리의 삶은 어떻게 바뀌게 될 것인가. 


이제부터 2차 대유행이 덮친 2021년 말로 시간여행을 떠난다. 쿠키뉴스는 4주에 걸쳐 신년 기획 ‘코로나19 세컨드 웨이브’(The 2nd Wave of COVID-19) 프로젝트를 선보인다. 우린 세상에 묻는다.

“우리가 맞을 미래는 디스토피아인가, 그 반대인가?”, “우린 미래를 위해 어떤 준비가 돼 있는가?” 

글=김양균, 다큐 연출=박시온, 시각화=이희정, 데이터=심신진
angel@kukinews.com
김양균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강하늘·유해진·박해준 다 모였다…정치물 아닌 액션물 ‘야당’

제목만 보고 소재를 오해하기 쉽지만, 라인업만큼은 화려한 범죄액션물 ‘야당’이 베일을 벗었다. 7일 서울 삼성동 메가박스 코엑스에서 영화 ‘야당’ 기자간담회가 열렸다. 현장에는 배우 강하늘, 유해진, 박해준, 류경수, 채원빈, 황병국 감독이 참석했다. ‘야당’은 대한민국 마약판을 설계하는 브로커 ‘야당’, 더 높은 곳에 오르려는 ‘검사’, 마약 범죄 소탕에 모든 것을 건 ‘형사’가 서로 다른 목적을 가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