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 김동운 기자 = 정부와 금융당국이 10월 출범 예정인 ‘대환대출 플랫폼’ 선정작업에 착수했다. 카카오와 토스, 네이버를 비롯한 핀테크 업체 10여개가 참가 의사를 밝힌 상황에서 시중은행들은 독자적인 자체 플랫폼 구축을 선언했다.
금융업계에 따르면 금융결제원은 대환대출에 참여할 빅테크 플랫폼 선정하는 절차에 돌입했다. 플랫폼을 심사하고 참여사를 선정하기 위한 민간위원 9인을 모집했다.
‘대환대출 플랫폼’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등에서 금융 소비자가 은행, 보험 등 여러 금융기관의 대출금리를 한 눈에 비교하고 금리가 낮은 곳으로 바꿀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10월 출범을 준비하고 있는 대환대출 플랫폼은 금융당국이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사업이다. 정부와 금융당국은 대환대출을 통해 대출 선택지를 넓히고 가계대출을 쉽게 갈아탈 수 있도록 만들어 이자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시중은행들은 정부 주도 대환대출 플랫폼에 참여하지 않고 독자적인 비대면 대환대출 플랫폼을 구축하기로 결정했다. 당초 금융당국은 은행연합회를 비롯한 금융협회, 주요 금융사들과 TF를 개설하고 대환대출 플랫폼 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핀테크 업체의 조건을 정하는 협의체 구성과 관련한 논의를 진행한 바 있다. 하지만 시중은행들이 핀테크 업권 중심으로 구성되는 플랫폼 방식은 동의할 수 없다며 집단으로 반발했다.
이후 시중은행은 지난 7월 정부주도 대환대출 플랫폼에 불참한다는 입장을 밝힌 이후 자체적인 플랫폼 구축을 논의했다. 하지만 계획을 철회 후 정부주도 플랫폼에 들어간다고 입장을 선회했다. 그러나 8월 다시 입장을 번복하고 자체적인 플랫폼을 구축했다고 무려 세 번의 입장을 바꾼 것.
현재 대환대출 플랫폼 참여 대상으로 분류되는 은행연합회 회원사(19개 은행) 다수가 자체 플랫폼 구축에 동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은행권은 계좌정보통합관리 서비스인 어카운트인포처럼 공공 성격이 큰 대환대출 플랫폼을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다만 구체적인 논의 사항이 진행되지 않은 만큼 어떤 은행들이 독자플랫폼에 뛰어들게 될 지는 정해지지 않았다.
이같은 시중은행의 대환대출 플랫폼 입장 번복은 자체 플랫폼의 경쟁력이 떨어지더라도 빅테크에 종속될 수 없다는 절박한 위기의식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기존보다 낮은 금리로 서민들이 대환대출을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들자는 취지 자체는 매우 동감하지만, 강력한 핀테크 플랫폼 주도로 대환대출 플랫폼이 출범할 경우 시중은행들이 이에 종속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며 “어카운트인포(계좌정보통합관리 서비스)처럼 공공재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방법을 구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핀테크 업권에서는 불편한 시선을 감추지 않고 있다. 핀테크 업체 관계자는 “플랫폼 종속 우려보다 사실상 수수료를 지불하는 것이 부담스러운 것이 아닌가 싶다”며 “은행 주도로 만든 대환대출 플랫폼이 금융소비자들에게 편리할지 생각해볼 문제”라고 지적했다.
chobits3095@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