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유가·환율 ‘3高’…한국 경제가 위태롭다

물가·유가·환율 ‘3高’…한국 경제가 위태롭다

소비자물가 4%대…1분기 성장률 0.7% 그쳐
원·달러 환율 1260원 돌파에 금융당국 ‘우려되는 수준’
정부의 선택은 ‘인플레 잡기’…가계대출 부담·부동산 침체 부작용

기사승인 2022-04-28 06:10:02
쿠키뉴스DB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시작된 유가 폭등이 전 세계적인 물가상승을 초래했다. 이 가운데 한국은 고환율이란 악재를 맞아 ‘인플레이션 악순환’이 일어날 우려까지 나오고 있어 한국의 올해 경제 전망이 밝지 않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소비자물가 ‘4%대’…경제성장률은 ‘암울’

한국은행이 지난 17일 발표한 ‘고 인플레이션에 대응한 통화정책 운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3월 기준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1%로 집계됐다. 해당 수치는 지난 2011년 12월(4.2%) 이후 10년 3개월 만에 처음이다.

이같은 한국의 물가상승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국제유가 급등으로 석유 가격이 31.2%나 상승했기 때문이다. 또한 식료품·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 상승률도 물가상승압력 확산세가 이어지며 2009년 6월(3.0%)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인 2.9%를 기록했다.

소비자물가 뿐 아니라 생산자물가지수도 함께 상승했다. 생산자물가는 생산자가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과 서비스 등의 가격 변동을 나타내는 것으로, 소비자물가지수의 선행지표로 활용된다. 대체로 생산자물가지수는 1개월의 시차가 있어 다음달 소비자물가에 반영된다고 볼 수 있다.

3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16.46(2015년 100기준)로 전월대비 1.3% 증가, 3개월 연속 상승세를 그렸다. 상승폭도 전월(0.5%) 보다 확대됐다. 이는 2017년 1월(1.5%) 이후 5년2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또한 지난해 같은기간 대비 8.8% 상승해 16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소비자물가가 상승할 경우 해당 국가의 경제활동이 위축된다. 글로벌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는 만큼 전 세계의 소비가 큰 폭으로 감소한다는 뜻이다. 결국 수출위주의 경제구조를 가진 한국의 경제성장률도 꺾이게 됐다.

실제로 지난 26일 한국은행은 올해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속보치·전 분기 대비)이 0.7%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4분기와 비교하면 0.5%p 감소한 수치다. 인플레이션의 영향은 ▲민간소비(-0.5%) ▲건설투자(-2.4%) ▲설비투자(-4.0%) 등에서 짙게 나타났다. 그나마 수출만 4.1% 증가해 비교적 ‘선방’했다는 평가를 받지만, 이마저도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는 올해 2분기 수출 증가세가 1분기보다 다소 둔화할 것이라는 암울한 전망을 내놓고 있다.

자료=통계청

고환율 악재까지 ‘먹구름’…타개책은 ‘난항’

한국의 경제전망에 먹구름을 드리우는 것은 인플레이션과 고유가 뿐만이 아니다. 끝없이 강세를 보이는 달러화 대비 약세를 보이는 원화가 인플레이션과 고유가 문제를 더욱 악화시키고 있기 때문. 27일 기준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10.7원 오른 1261.5원에 출발했다. 환율이 장중 1260원을 넘어선 것은 코로나19 확산 직후인 2020년 3월24일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환율이 약세를 보일 경우 보통 수출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하지만 지금의 상황은 다르다. 수출 경쟁국 통화인 중국의 위안화와 일본 엔화의 달러 대비 환율이 더 올라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또한 고유가가 지속되는 상황에선 원자재 가격 상승의 요인으로 작용하며 한국의 수출 경쟁력을 만들어낸 ‘고환율’이 오히려 악영향을 주고 있는 셈이다.

더욱 문제가 되는건 이례적으로 고환율에 대한 우려를 당국이 직접 밝혔음에도 쉽사리 가라앉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이번달 초 한·미 금리차에 대해 “환율이 절하하는 쪽으로 작용할 텐데 그것이 물가에 주는 영향을 저희가 조금 더 우려하고 봐야지 않나”라고 언급한 바 있지만, 환율 상승세가 여전한 상황이기 때문.

물가·유가·환율 3개의 악재가 겹친 가운데 정부와 금융당국은 우선 ‘물가’를 잡는데 집중할 계획이다. 이창용 총재는 지난 25일 취임식 이후 기자간담회에서 기준금리 추가 인상을 예고했다. 이 총재는 “성장둔화가 우려되지만 물가가 더 걱정스럽다. 어떤 속도로 기준금리를 올릴 지는 데이터가 나오는 것을 보고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금리인상에 따른 가계부채 증가와 해외로의 자금이탈을 어느정도 감수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쿠키뉴스DB.

인플레이션 잡다가 가계대출 부담·부동산 침체 ‘우려’ 

문제는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한 기준금리 인상이 더 큰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먼저 코로나 시국을 거쳐 1800조원이 넘어가는 가계부채가 발목을 잡는다. 한은에 따르면 금리가 0.25%p 오를 경우, 가계의 연간 이자 부담은 대출자 1인당 평균 16만1000원씩 늘어난다. 현재 기준금리가 0.5%에서 1.5%로 오른 만큼 이미 64만4000원의 이자부담이 늘어났다. 

또한 기준금리 인상은 주택담보대출과 전세대출 등 부동산대출의 금리 인상은 끓어오른 부동산시장의 침체를 가속화 할 가능성이 높다. 이미 지난 2월 말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지난달보다 16.2% 증가한 2만5254호로 파악됐으며, 전국의 주택 매매량은 총 4만3179건으로 전년 동월(8만7021건) 대비 50.4% 감소하는 등 부동산 시장 침체가 가시화되고 있다.

주택시장 위축은 금융사에게도 악재가 된다.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게 되면 은행의 부실채권은 늘어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2012년 전국 주택가격이 5.6% 하락했을 당시 은행의 신규 연체 금액은 전년동기 대비 37.5% 증가하기도 했다.

변준호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현재의 글로벌 경기 둔화 조짐은 순환적 경기 둔화 국면으로 부각될 전망이며 과거 평균적 둔화 이상일 가능성이 높다”며 “하반기 글로벌 경제 지표가 지속적으로 악화되면서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는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라고 말했다.

김동운 기자 chobits3095@kukinews.com

김동운 기자
chobits3095@kukinews.com
김동운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