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7일 (월)
‘의료 AI’와 ‘메타버스’ 만남…新뇌노화 분석 솔루션 예고

‘의료 AI’와 ‘메타버스’ 만남…新뇌노화 분석 솔루션 예고

‘제이엘케이’와 ‘맥스트’ MOU 체결
뇌노화 분석 솔루션 ‘ATROSCAN’ 가상공간 결합, 환자 뇌 모양 3차원 구현

기사승인 2022-06-02 09:59:10
왼쪽부터 제이엘케이 김동민 대표, 맥스트 박재완 대표.   제이엘케이
박선혜 기자
betough@kukinews.com

뇌와 암 분야에 특화된 의료 인공지능 전문 기업 ‘제이엘케이’와 AR원천기술을 바탕으로 메타버스 흐름을 타고 빠르게 성장 중인 메타버스 플랫폼 기업 ‘맥스트’가 2일 업무 협력(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 사는 2022년 6월2일 제이엘케이 서울 사옥에서 만나 MOU 체결식을 가졌으며, 4차 산업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과 ‘메타버스’가 만나게 된 만큼 향후 제이엘케이의 의료 인공지능 기술력과 맥스트의 메타버스 기술력이 결합되어 추진될 사업에 대한 관심도도 뜨거울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MOU 체결 이후, 양 사는 크게 두 방향으로 사업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먼저, 제이엘케이의 핵심 솔루션인 치매 가능성 및 뇌 노화 진행 상황에 대한 분석을 제공하는 ‘ATROSCAN’에 메타버스를 적용하여 보다 현실적이고 입체감 있는 공간 구현을 통해 건강검진 수검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계획이다.

그 동안은 측정된 수검자의 뇌 부피를 가공된 건강검진 결과지를 통해 보여주는 것에 불과했다면, 앞으로는 메타버스 공간에 3차원으로 구현된 자신의 메디컬 트윈으로 본인의 뇌를 직접 볼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말과 글로만 정보를 전달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증강현실 속에서 정보를 전달하게 됨으로써 환자의 질병에 대한 이해도 및 치료에 대한 순응도가 올라갈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지난 5월 규제샌드박스 임시허가를 통해 한시적으로 허용된 재외국민 대상 비대면 원격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 제이엘케이는 22년 상반기 내로 해당 사업을 런칭할 계획이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가천대 길병원과 함께 참여 중인 비대면진료 서비스를 통해 B2C 의료 분야의 매출 성장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좀 더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을 위해 원격의료 플랫폼에 가상 공간 결합을 진행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제이엘케이의 원격의료 플랫폼인 ‘MEDIHUB TELE’에 메타버스를 결합함으로써 실감난 병원진료실과 검사실을 구현해 비대면 진료로 인해 느낄 수 있는 환자와 의사 간의 괴리감을 줄여줄 계획이다. 제이엘케이 관계자는 “그동안은 영상통화나 음성통화에 기반한 비대면 진료가 활성화돼 있었지만, 앞으로는 비대면 진료 시 환자에게 보다 입체적인 진료 환경을 제공해 마치 대면 진료를 하고 있는 듯한 몰입감을 줄 것”이라고 언급했다.

박선혜 기자 betough@kukinews.com
박선혜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봉준호 ‘미키17’, 개봉 한 달 만에 美극장서 내린다…7일부터 스트리밍 서비스

봉준호 감독의 할리우드 영화 ‘미키 17’ 극장 개봉 한 달 만에 손실을 안은 채 상영을 종료하고 온라인 스트리밍 플랫폼으로 가게 됐다.6일(현지시간) 미국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의 신작 목록에 따르면 '미키 17'은 오는 7일 오후 9시(미 서부시간)에 온라인 스트리밍 플랫폼에서 공개될 예정이다.미 경제매체 포브스에 따르면 미키 17은 애플TV와 판당고 등 다른 여러 스트리밍 플랫폼에서도 볼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이 영화는 극장 상영을 마무리하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