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부실채권비율 감소세…잠재적 리스크 여전

은행 부실채권비율 감소세…잠재적 리스크 여전

기사승인 2022-06-02 17:17:50
쿠키뉴스DB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비율이 줄고 금융리스크를 대비한 대손충당 적립률이 높아지면서 은행의 자산 건전성이 표면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정부의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한 대출 만기 연장과 상환 유예 조치로 인한 것이기에 잠재적 위험부담은 여전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국내은행의 부실채권(고정이하여신) 비율은 0.45%로 지난해 4분기 말보다 0.05%p 하락했다. 전년동월와 비교해도 0.17%p 줄었다. 부실채권이란 연체기간이 3개월 이상인 대출을 의미한다.

지난 3월 말 기준 부실 채권은 10조8000억원으로 지난해 4분기 말 대비 1조원이 감소했다.

기업 여신이 9조2000억원으로 전체 부실 채권의 84.9%를 차지했고 가계 여신이 5000억원, 신용카드 채권이 1000억원 순이었다.

올해 1분기 중 신규 발생한 부실 채권은 1조8000억원으로 지난해 4분기보다 8000억원 감소했다. 부실채권 정리 규모는 2조8000억원으로 1000억원 증가했다.

지난 3월 말 기준 대손충당금 적립률은 181.6%로 지난해 4분기 말보다 15.7%p 상승했다. 작년 동월 말과 대비 44.3%p 늘었다.

다만,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한 코로나19 만기 연장·상환 유예 등 각종 금융 지원 조치가 추후 정상화될 경우 부실이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상환이 그만큼 늦어지면 차주의 이자 부담도 커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은행도 잠재된 부실을 떠안을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이어 “최소한의 이자 상환도 하지 않았기에 차주의 신용도도 알 수 없게 되고 그럴 경우 은행의 부실채권은 더욱 커질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올해 금융시장은 어느 때 보다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이다. 우선 미국 연준발(發) 금리 인상과 물가 상승 압력이다. 이미 미국 연방준비위원회(연준)는 인플레이션을 누르기 위해 당초 예상 보다 금리 인상을 빠르게 시행하고 있다. 

그동안 ‘불패신화’를 이어갔던 주택시장도 하향세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아파트 거래량이 큰 폭으로 감소하고 있고, 미분양 물량도 늘어나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아파트 거래대금은 3조원 수준으로 전년동기(31조원) 대비 급감했다. 올해 1월 수도권 아파트 거래량도 전월대비 10.5% 감소했다. 미분양 물량도 증가세다. 지난해 12월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총 1만7710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1만4094가구) 대비 25.7% 늘어난 수치로, 같은 해 9월(1만3842가구)부터 3개월 연속 증가했다.

주택시장이 주춤할 경우 금융시장도 동시에 영향을 받는다. 미분양이 늘어나면 금융사들의 PF(프로젝트 파이낸싱) 사업이 그만큼 위축된다. 이어 부동산 자산을 담보로 대출을 받은 기업도 타격을 받을 수 있다. 중소기업들이 부동산을 담보로 대출을 빌린 금액만 463조원(지난해 3월 기준)에 달한다. 결국 이는 은행의 부실채권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실제  2012년 전국 주택 가격이 5.6% 하락했을 당시 은행의 신규 연체 금액은 전년동기 대비 37.5% 증가했다. 

이에 금감원 관계자는 “은행이 대내외 경제 충격에도 건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대손충당금 및 자본 등 손실흡수 능력 확충을 지속해서 유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유수환 기자 shwan9@kukinews.com
유수환 기자
shwan9@kukinews.com
유수환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