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시, 국가안전대진단 점검시설 주민신청제 운영 [남부경남]

통영시, 국가안전대진단 점검시설 주민신청제 운영 [남부경남]

기사승인 2022-07-19 10:22:21
경남 통영시는 2022년 국가안전대진단 실시기간 중 지역주민이 점검을 필요로 하는 시설을 신청하면 점검하는 '주민신청제'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국가안전대진단은 오는 8월 17일부터 10월 14일까지 진행되며 범정부적 민·관 합동으로 매년 주민 생활과 밀접한 주요 시설 등을 점검해 위험요인을 해소하고 사회 전반에 대한 안전관리 실태를 점검하는 제도다.


주민신청제는 주민 스스로 점검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신청 대상 시설에  안점점검을 신청하는 것으로 국가안전대진단 추진 기간 동안 주민 참여를 확대함으로써 안전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실효성 있는 점검을 실시하기 위해 올해 처음 도입했다.

신청 대상은 마을회관, 경로당, 교량, 복지회관, 노후 공공건축물 등 소규모 생활밀접시설로 한정되며 개인시설, 공사 중인 건물, 소송(분쟁), 법적 의무점검대상 시설물은 대상에서 제외된다.

신청 기간은 오는 8월 5일까지로 자세한 내용은 통영시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안전신문고 앱 또는 읍‧면‧동사무소를 방문해 신청하면 된다.

이후 위험도, 설치년도 등에 따라 점검대상을 선정해 신청주민에게 개별 통보할 예정이며, 대상 시설들에 대해서는 건축·토목·전기·가스·소방 등 여러 분야의 전문가와 합동점검을 실시하고 위험요인이 있을 시 시정 요청하거나 보수·보강 방안을 제시하는 등의 후속 조치를 취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이번 주민신청제를 통해 주민이 국가안전대진단에 참여하는 계기가 되길 바라며, 앞으로도 주민참여를 확대해 주민과 소통하는 현장 중심의 안전점검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통영=강연만 기자 kk77@kukinews.com


◆거제시, 전동킥보드 이용 교통안전 대책 마련

경남 거제시(시장 박종우)는 지난 15일 거제경찰서, 거제교육지원청, 관내 전동킥보드 대여업체 대표들과 거제시청 안전회의실에서 전동킥보드 교통안전 대책 간담회를 개최하고 이용자에 대한 안전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전동킥보드는 개인형 이동장치(PM)의 한 유형으로 이용 방법이 쉽고 편리한 교통수단이라는 장점이 부각되면서 이용 수요와 공급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지만 늘어나는 이용자만큼이나 개인형 이동장치로 인한 각종 민원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도로나 인도에 개인형 이동장치를 무단으로 방치하는 행위가 잦아지면서 다른 교통 이용자들이나 보행자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개정된 도로교통법에는 만 16세 이상 원동기면허 이상 보유자만 탑승할 수 있으며, 보도 통행을 금지하고 안전모 착용을 의무화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규정에도 불구하고 대다수 이용자들이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고 인도를 주행하며 때로는 운전면허가 없는 학생들이 탑승한 채 거리를 활보하고 있는 실정이다.

거제시는 이를 해소하기 위해 거제경찰서, 거제교육지원청 등 관계 기관과 관내 대여업체가 합동으로 현 상황을 진단하고, 안전한 전동킥보드 이용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특히, 법 위반행위자에 대한 단속 강화와 전동킥보드 무단 방치에 대한 처리방안, 운전면허가 없는 사람이 탑승할 수 없도록 운전면허증 인증 방안 등 다양한 의견을 주고받으며 근본적인 안전대책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서 거제경찰서는 전동킥보드 교통질서를 바로잡고자 법규 위반행위에 대한 집중 단속 계획을 밝혔고, 7월 중에는 시청과 합동단속을 실시할 예정이다. 또한, 거제교육지원청에서는 운전면허가 없는 학생들이 전동킥보드를 이용하지 못하도록 학교별로 안전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다.

관내 대여업체에서도 운전면허증 인증 방안에 대해 적극적으로 검토를 통해 전동킥보드를 1일 2회 수거하던 것을 3~4회로 늘리고 무단 방치된 전동킥보드는 1시간 이내로 수거해 시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겠다고 약속했다.

거제시 관계자는 "안전한 전동킥보드 이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이용자들 스스로 안전 수칙을 철저히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며 "주기적으로 거제경찰서와 합동단속을 실시해 시민들의 안전이 확보되도록 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거제=강연만 기자 kk77@kukinews.com
강연만 기자
kk77@kukinews.com
강연만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