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는 2020년에 성과급으로 직원들에게 약 1750억을 지급했고 2021년에도 국민 세금으로 천억원이 넘는 성과급 잔치를 벌였다. 이번 살인사건의 피의자 전주환 역시 직위해제 상태에서도 월급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2021년 연말에 600만원이 넘는 성과급을 수령한 것으로 밝혀졌다”
국민의힘에서 여성가족위원회 간사를 맡고 있는 정경희 의원은 지난 20일 원내대책회의에 참석해 이같이 지적했다.
정 의원은 “신당역 스토킹 살인사건의 피해자인 역무원 A씨가 야간 근무를 하던 당시 홀로 순찰을 돌며 호신용품도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던 것으로 밝혀져 논란이 되고 있다. 서울교통공사가 역무실마다 배치했던 가스총을 2020년 돌연 폐기하고 가스총 대신 직원들에게 전자호루라기를 지급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정 의원은 이어 “2012년 서울메트로는 묻지마식 지하철 흉기 난동 등 시민들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사건 사고가 계속되자 역내 치안 유지를 위해 지하철역마다 가스총을 한두 정씩 비치한 바 있다. 그런데 2020년 4월 김상범 사장이 취임한 후 얼마 되지 않아 서울교통공사는 528정의 가스총 중 17정을 제외한 511정을 폐기했다. 그리고는 가스총 대신 전자식 호루라기를 배치한 것이다. 서울교통공사가 밝힌 가스총 폐기 사유는 가스총 사용 빈도가 극히 낮고 폭행으로부터 직원 보호라는 기대효과도 미미해 불필요한 행정 및 예산 낭비를 초래한다는 것이었다. 그러니 직원 보호를 위해 위급 상황 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전자식 호루라기를 지급하기로 했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정 의원은 “가스총은 만에 하나 발생할 수 있는 위기 상황에 즉각 대처하기 위한 수단이지 자주 사용해야만 효용이 있는 소모품이 아니다. 또한, 직원 보호를 위해 가스총 대신 호루라기를 지급하는 것이 위기 상황에서 유효할 것이라는 발상도 황당하기 그지없다. 서울교통공사 홈페이지 CEO 인사말에는 서울교통공사의 사람, 시스템과 인프라는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한다고 적혀있다”며 “하지만 지난 몇 년간 서울교통공사의 경영 행태를 살펴보면 이 말이 얼마나 기만적인지 금방 알 수 있다. 서울교통공사가 재작년에 예산 낭비라면서 가스총을 폐기했을 때 연간 가스총 유지 관리비는 약 2300만원에 불과했다. 최소한의 안전보장을 위한 조치에 드는 비용이 비효율적이라는 이유를 들어 가스총을 폐기한 서울교통공사가 얼마나 효율적인 경영을 했나 한번 살펴보자. 서울교통공사는 2017년부터 3년 연속 5천억원대 순손실을 냈으며, 2020년과 2021년에는 순손실 각각 1조원 이상을 기록해 누적 적자 17조원에 달하는 기관”이라고 비판했다,
정 의원은 “그런데도 서울교통공사는 2020년에 성과급으로 직원들에게 약 1,750억을 지급했고 2021년에도 국민 세금으로 천억원이 넘는 성과급 잔치를 벌였다. 이번 살인사건의 피의자 전주환 역시 직위해제 상태에서도 월급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2021년 연말에 600만원이 넘는 성과급을 수령한 것으로 밝혀졌다. 서울교통공사는 연간 1조가 넘는 적자를 내면서도 직원 평균임금은 7천만원이 넘고, 사장 연봉 역시 2020년 기준으로 1억8167만원으로 서울시 투자 출연기관 중 두 번째로 높은 기관이다. 조 단위 적자를 내는 기관이 수천억원대 성과급 잔치를 벌이면서 정작 1년에 2300만원 든다고 가스총을 폐기해 버린 것”이라고 비판했다.
정 의원은 “이번 사건은 시민들 안전은 뒷전이고 엉뚱한 데서 예산을 삭감해버린 서울교통공사의 원칙 없고 방만한 경영 행태가 빚은 인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속절없는 가정이지만, 고인이 되신 역무원께서 가스총을 소지하고 계셨더라면 범인이 그렇게 쉽게 덤벼들었겠는가. 그 역무원께서 가스총을 소지했더라면 범인을 제압할 수도 있지 않았겠는가. 엄한데서 돈 아끼는 척 국민을 기만하는 서울교통공사의 부실경영이 이제는 소중한 우리 국민 한 사람의 생명을 빼앗는 지경에 이르렀다”며 “역무원에게 승객들을 보호하라면서 정작 방범 조끼, 삼단봉, 가스총 같은 제대로 된 방어용품 하나 제공하지 않는 책임을 반드시 물어야 한다. 또한, 서울교통공사에 뿌리내린 방만 경영을 이참에 뿌리 뽑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영수 기자 juny@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