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금리대출 부메랑? 인터넷은행 연체율 ‘전전긍긍’

중금리대출 부메랑? 인터넷은행 연체율 ‘전전긍긍’

인뱅 3사 1개월 이상 연체 잔액 1년 사이 3배 증가
연체율도 상승세…이복현 원장 “중금리대출 비중 조정 검토할 소지 있어”

기사승인 2023-02-28 06:00:23
자료=각사 제공.

지난해부터 1년이 넘는 기간 동안 고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인터넷은행이 딜레마에 빠졌다. 중금리대출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면서 역대 최대 순이익이 예상되지만 연체율도 큰 폭으로 오르면서 부실 위험이 커지고 있어서다.

28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토스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 3사의 1개월 이상 연체 대출 잔액은 2915억9100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1분기 말(1062억원) 대비 약 3배 가까이 증가한 수치다.

연체 잔액을 분기별로 살펴보면 1분기 말 1062억원 수준에서 △2분기 말 1392억원 △3분기 말 1860억원 △4분기 말 2916억원으로 꾸준히 늘어났다.

은행별로 보면 토스뱅크의 연체 대출 증가 폭이 가장 컸는데, 토스뱅크의 1개월 이상 연체 대출은 619억원으로 1분기 말(11억원) 56배 이상 늘었다. 단 토스뱅크의 경우 출범한 지 약 1년이 넘지 않은 것을 감안해야 한다. 이외에도 케이뱅크는 2.5배 증가한 920억원, 카카오뱅크는 2배 늘어난 1377억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연체율을 보면 더 심각하다. 지난해 말 카카오뱅크의 연체율은 0.49%로 1분기 말 대비 0.23%p 상승했다.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0.36%로 같은 기간 0.11%p 상승했다.

지난해 3분기 말 케이뱅크의 연체율은 0.67%로 1분기 말보다 0.19%p 상승했다. 같은 기간 고정이하여신비율은 0.12%p 오른 0.76%였다. 토스뱅크의 작년 3분기 말 연체율은 1분기 말보다 0.26%p 오른 0.30%, 고정이하여신비율은 0.19%p 오른 0.23%였다.

이는 시중은행과 비교하면 극명하게 드러난다. 국내 4대 시중은행들의 지난 1월 신규 연체율 평균은 0.09%로 집계됐다. 이는 1년 전인 지난해 1월 신규 연체율(0.04%)과 비교하면 2배 이상 높은 수치지만, 인터넷은행과 비교하면 차이가 크다.

이처럼 인터넷은행들의 연체율이 높은 이유는 ‘중금리대출’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중금리대출의 주요 이용자들인 중·저신용자들이 고금리 상황이 장기화하면서 상환 능력이 악화되고 있어서다.

또한 지난 2021년 금융위원회는 인터넷은행에 중금리대출 보급 활성화를 주문하면서 목표치를 달성 여부를 향후 신사업 인허가 심사 시 고려하겠다는 지침을 밝힌 바 있다. 출범 이후 신규사업 확장에 힘쓰고 있는 인터넷은행으로서는 중금리대출 비중을 낮추는 ‘선택’을 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인터넷은행 관계자는 “중저신용자 대출 확대에 나서면서 건전성 문제는 늘 지적됐던 부분”이라며 “코로나19 장기화를 비롯해 지속적인 금리 상승의 누적효과가 지난해 하반기부터 연체율 상승에 반영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금융당국은 연체율 상승을 예의주시하며 리스크 관리 강화를 주문하고 있다. 또한 당국 차원에서 중금리대출 비중 등에 대한 개선책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27일 인터넷은행 및 핀테크 업권 간담회 이후 인터넷은행의 중금리대출 공급 의무를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하냐는 질문에 “합리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그 부분에 대한 개선책이 나온다면 지금은 적극적으로 검토할 소지가 있다”며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검토한다는 측면의 답변이고 내부적으로 결정이 된 사안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씬파일러(금융거래이력부족자)에 대한 신용 공급이라는 인터넷은행 출범 취지에 비추어 지켜야 할 정책적 지향점은 명백히 있다”며 “산업 경쟁 환경 강화와 더불어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인식은 있다”고 덧붙였다.

김동운 기자 chobits3095@kukinews.com

김동운 기자
chobits3095@kukinews.com
김동운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