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가계대출이 전세대출까지 포함하면 약 3000조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청년세대의 부채 및 다중채무도 급격히 늘어나면서, 이들의 자산건전성이 우려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 6일 발표한 ‘전세보증금을 포함한 가계부채 추정 및 시사점’ 자료에 따르면 국내 전체 전세보증금 규모는 2017년 말 770조9000억원에서 2020년 말 1058조3000억원으로 5년 만에 287조4000억원(37.3%) 늘었다. 한경연은 총 전세보증금 규모를 전세보증금 부채와 준전세(보증금이 월세의 240개월치 초과) 보증금 부채의 합으로 추산했다.
여기에 금융기관 대출을 합산하면 같은기간 전체 가계부채는 2017년 2221조5000억원에서 2022년 2925조3000억원으로 703조8000억원(31.7%)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가계대출이 큰 폭으로 늘어난 가운데 2030세대의 부채가 큰 폭으로 늘어 우려를 사고 있다. 사회초년생으로 급여가 높지 않고 자산이 많지 않은 청년세대들의 대출이 감당하기 힘들 정도로 늘어난다면 파산에 이를 가능성이 타 연령대보다 매우 높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표한 ‘청년미래의 삶을 위한 자산 실태 및 대응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원자료를 분석한 결과 19~39세 청년이 가구주인 가구의 평균 부채는 2021년 8455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2년 3405만원의 2.48배에 달한다.
부채는 임대보증금을 제외한 금융부채로, 평균값은 부채가 없는 청년을 포함해 계산됐다. 부채가 있는 청년만을 대상으로 하면 평균 부채액은 1억1511만원(2012년 5008만원)에 달했다.
부채의 위험 수준을 살펴보기 위해 소득 대비 부채비(DTI)를 보면 청년가구주 가구 중 300%가 넘는 경우가 21.75%나 됐다. 2012년 8.37%였던 것을 고려하면 10년새 2.60배 급증한 수치다.
청년층들은 대출만 늘어난 것이 아니라 ‘악성채무’로 분류되는 다중채무도 큰 폭으로 늘어났다. 3곳 이상의 금융사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는 ‘빚을 빚으로 돌려막기’ 하는 경우가 많아 부실 가능성이 큰 취약 채무자로 분류된다.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진선미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다중채무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다중채무자 중 30대 이하 청년층은 139만명으로, 전체 다중채무자(447만3000명)의 31%를 차지했다. 청년층 다중채무자의 대출 잔액은 155조1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진선미 의원은 “다중채무자가 급격히 증가한 상태로 기준금리가 가파르게 상승해 자산건전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며 “취약차주 지원을 위한 금융지원 프로그램, 정책금융 확대 등을 통해 선제적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김동운 기자 chobits3095@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