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8일 (목)
‘기후변화 적응 보고서’ 나온다… “한국 온난화, 평균보다 빨라”

‘기후변화 적응 보고서’ 나온다… “한국 온난화, 평균보다 빨라”

1912년 이후 109년간 연평균 기온 상승 폭 1.6도
세계 평균1.09도 보다 높아...해수면 상승 폭 2.97㎜

기사승인 2023-04-18 15:53:28 업데이트 2023-04-18 16:05:17
대한민국 기후변화 적응 보고서. 환경부
이준범 기자
bluebell@kukinews.com

한국이 기후변화에 적응하고 있는 내용을 담은 정부 보고서가 처음 발간된다.

환경부는 ‘대한민국 기후변화 적응 보고서’를 19일 기후위기적응센터 홈페이지에 공개한다고 18일 밝혔다.

보고서는 유엔기후변화협약 사무국 제출 권고에 따라 작성됐다. 현재까지 영국과 호주 등 50개국이 기후변화 적응 보고서를 제출했다. 이 보고서들은 2015년 체결된 파리협정을 얼마나 이행 중인지 확인하는 전 지구적 이행 점검(GST) 기본자료로 활용된다.

보고서에는 한국 온난화 속도가 세계 평균보다 빠르다는 내용이 담겼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912년부터 2020년까지 109년간 한국 연평균기온 상승 폭은 1.6도로 세계 평균(1.09도)보다 컸다. 표층 수온은 1968~2017년 50년간 1.23도 올라 상승 폭이 세계 평균(0.48도)의 2.6배에 달했다. 1989~2018년 연간 해수면 상승 폭은 2.97㎜로 세계 평균(1.7㎜)보다 1.2㎜ 컸다.

보고서는 기온 등의 상승과 함께 “폭우와 폭염, 겨울철 이상고온, 한파의 강도가 강해지고 빈번해지고 있다”라면서 “2012~2021년 10년간 기후변화와 연관된 자연재해로 인한 경제 손실이 3조7000억원이며 복구 비용은 손실의 2~3배에 달한다”라고 설명했다.

한국이 기후변화의 위협을 심각한 사안으로 보고 적응을 추진하기 위한 종합적인 체계를 마련하고 있다는 내용도 담겼다. 2010년 녹색성장법을 제정하면서 ‘기후변화 적응’을 처음 법제화했고, 현재는 2021년 제정된 탄소중립기본법에 따라 기후변화 적응책을 종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구체적인 기후변화 적응책으론 2020년 마련한 ‘제3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을 소개했다. 3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 대책에는 ‘국민과 함께하는 기후안심 국가 구현’이라는 비전 아래 △ 지구 온도 2도 상승에도 대비하는 사회 전 부문 기후탄력성 제고, △ 기후감시·예측 인프라 구축으로 과학 기반 적응 추진, △ 모든 적응 이행 주체가 참여하는 적응 주류화 실현 등 목표가 담겼다.

국제협력을 강화하겠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보고서는 “대한민국은 기후·녹색 ODA(공적개발원조) 비율을 오는 2025년까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개발원조위원회 평균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준범 기자 bluebell@kukinews.com
이준범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김상욱, ‘이재명 대표’ 만남 환영…“제안한 장소·시간·방법 수용”

국민의힘을 탈당한 김상욱 무소속 의원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만남 제안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 후보 측의 제안에 맞춰 회동을 할 예정이다. 김 의원은 이 자리에서 대한민국에 대한 위기와 ‘민주보수’ 가치에 대해 논의하고 싶다고 희망했다.김 의원은 8일 쿠키뉴스와 통화에서 ‘이 후보와 만남’ 질문에 “이 후보 측이 접촉을 제안하면 제가 (조건을) 다 맞추겠다. 이 후보가 가진 (정치) 방향성을 대화를 통해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