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중국 부동산 위기의 ‘진앙’으로 작용하고 있는 부동산 개발업체 비구이위안(컨트리가든)의 이자 지급일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컨트리가든의 채무불이행(디폴트) 우려가 높은 가운데 정부와 시장에서는 국내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컨트리 가든은 지난달 6일 만기 도래한 액면가 10억 달러의 채권 2종에 대한 이자 2250만 달러(약 289억원)를 상환하지 못했다. 이후 채권단은 컨트리가든에 이자 지급을 위한 30일의 유예기간을 줬다. 6일 유예기간 종료에 따라 컨트리가든은 이자 상환에 나서야 한다.
일단 시장에서는 컨트리가든이 이자 지급에 나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컨트리가든은 최근 링깃화 채권에 대한 이자 285만링깃(약 8억원)을 기한 내 지급했다. 또한 지난 1일 위안화 채권 39억위안(약 7089억원) 규모의 상환 기한을 2026년으로 연장하는데 성공했다.
다만 컨트리가든이 10억 달러 규모의 채권 이자를 지급해도 디폴트 위기가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컨트리가든이 막아야 할 채권은 총 157억200만위안(2조8700억원)으로 내년 초까지 만기가 줄줄이 다가온다. 이에 국제신용평가업체 무디스는 지난달 30일 컨트리가든의 신용등급을 ‘Ca’ 단계 하향 조정했다. ‘Ca’ 등급은 디폴트가 임박했을 때 나오는 등급이다.
중국 경제 성장의 한 축을 맡아온 부동산 시장이 흔들리면서 중국 금융시장도 불안한 모습이다. 금융그룹 중즈그룹의 계열사인 중룽신탁은 비구이위안의 영향으로 최근 수십 개 투자신탁 상품의 이자 지급 및 원금 환매를 중단했다. 골드만삭스는 중국 신탁산업의 손실이 380억달러(50조2000억원)까지 증가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국 정부는 중국의 이러한 리스크가 국내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입장이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3일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국내 금융회사들은 중국 시장의 취약 부분에 대해 미리 조심했기 때문에 문제가 되는 회사에 대한 투자는 지극히 미미하다”며 “우리 경제에 직접적인 영향은 거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중국이 국가 중심의 사회주의 체제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진정시키는 정부의 대응책이 나올 것”이라며 “우리 정부 역시 중국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여러 지표를 살펴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주현 금융위원장도 전날 “중국 부동산이 어려워지면 우리나라도 영향을 받겠지만 중국 정부의 정책 의지를 봤을 때 중국 전체를 흔들 위기로 보지 않는 견해가 많다”며 “우리가 중국 부동산에 투자한 금액도 많지 않아 우리에겐 미치는 영향이 굉장히 제한적”이라고 말했다.
시장에서는 중국의 부동산 위기가 국내 증시에 미치는 영향도 제한적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키움증권은 중국 부동산 리스크발 경기 하강 압력이 국내 증시에 심리적인 부담 요인이지만, 시스템 리스크 가능성이 낮아 국내 증시 조정 압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상장지수펀드(ETF)를 중심으로 활용하는 글로벌 자산배분 펀드 혹은 해외 주식 투자 개인들 사이에서도 중국을 제외한 한국 등 신흥국에 대한 투자 니즈가 지속되고 있다”며 “이 같은 수급 관점에서 봐도, 향후 중국 부동산 리스크가 글로벌 금융시장 시스템을 위협하는 수준으로 파급효과가 거세지지 않는 이상, 외국인의 한국 증시 순매도 압력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조계원 기자 chokw@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