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1일 (수)
‘아빠도 출산 유급휴가 의무’…與 1호 공약 ‘저출생 해결’

‘아빠도 출산 유급휴가 의무’…與 1호 공약 ‘저출생 해결’

육아휴직 급여 상한 210만원으로 인상
부총리급 인구부 신설 논의 등 저출생 정책 통합

기사승인 2024-01-18 17:10:32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사진=임형택 기자
윤상호 기자
sangho@kukinews.com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이 국민의힘 1호 총선 공약으로 ‘일·가족 모두행복’ 정책을 발표했다. 대한민국의 저출생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취지다.

한 위원장은 18일 서울 강남구 휴레이포지티브 기업을 방문해 “저출생은 국가소멸위기까지 언급되는 미래 문제이고 청년과 아이 키우는 사람들에 대한 현재 문제”라며 “일과 가족, 국민을 위한 시스템을 정립하겠다”고 말했다.

공약 세부 내용은 △배우자 출산 휴가 1개월(유급) 의무화 △부총리급 인구부 신설 △육아기 유연근무 △중소기업 대체인력 확보 해결 △가족친화 우수 중소기업 적극 지원 △아이 돌봄 직업별 격차 해소 등이다.

출산 휴가를 ‘아이맞이 엄마·아빠 휴가’로 나누고 배우자 출산휴가를 1개월 유급 휴가로 의무화한다. 육아휴직 역시 급여 상한이 150만원에서 210만원으로 인상되고 자녀가 초등학교 3학년이 될 때까지 연5일 자녀돌봄휴가가 신설된다.

부총리급 인구부가 신설돼 여성가족부와 보건복지부, 교육부 등에 흩어진 저출생 정책을 하나로 통합한다. 저출생대응특별회계를 신설해 관련 재원 마련에도 나설 방침이다.

또 중소기업 출산휴가 대체인력들에 대해 채움인재 인센티브를 지급하고 외국인 근로자 고용허가 한도를 상향할 계획이다. 중소기업 육아휴직 대체인력지원금이 현행 80만원에서 160만원으로 인상되며 가족친화 우수 중소기업은 법인세를 감면할 예정이다.

아울러 양육할 때 직업 격차 해소를 위해 고용보험 미가입자에 대한 지원을 확대한다. 프리랜서나 예술인, 자영업자, 농어민들은 오는 2025년부터 일·가정양립 제도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한편 이날 공약 발표는 ‘국민택배 정책배송’ 이벤트와 함께 진행됐다. 한 위원장이 택배 사원이 되어 국민이 주문한 정책을 배송하는 콘셉트다.

윤상호 기자 sangho@kukinews.com
윤상호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한미, ‘관세 조율’ 2차실무협의 시작…대선 전 사실상 마지막 협의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가 추진하는 품목별·개별국가 상호관세 문제를 조율하기 위한 한미 정부간 실무 통상 협의가 2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사흘 일정으로 시작됐다.21일 소식통에 따르면, 수석대표인 장성길 산업통상자원부 통상정책국장이 이끄는 정부 대표단은 이날 미국에 도착해 미국 무역대표부(USTR) 관계자 등과 제2차 기술협의(technical discussions)를 진행 중이다.이번 회의는 지난달 30일부터 5월1일까지 워싱턴에서 열린 1차 기술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