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일 (금)
"인공지능 산불감시체계 확충" 산림청 산불방지대책 가동

"인공지능 산불감시체계 확충" 산림청 산불방지대책 가동

영농부산물 소각 등 산불 원인행위 제거
대형 소방헬기 추가 도입 등 진화능력 보강

기사승인 2024-01-29 15:53:40
산림청이 반복되는 대형 산물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산불방지대책을 본격 가동한다. 특히 인공지능(AI) 감시체계 확충과 대형 소방헬기 도입으로 예방 및 진화 능력을 향상시킬 방침이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29일 정부대전청사에서 올해 산불방지 주요대책 브리핑을 열고 원인별 산불 예방대책과 첨단 감시체계 구축, 초등진화체계 강화 등에 대해 설명했다.

29일 정부대전청사에서 올해 산불방지대책을 브리핑하는 남성현 산림청장. 사진=이재형 기자
이재형 기자
jh@kukinews.com

산림청에 따르면 최근 5년 간 발생한 산불 원인은 입산자 실화와 영농부산물 등 소각행위가 전체의 67%를 차지했다.

산림청은 올해도 봄 강수량이 평년과 비슷하면서 기온은 오르고, 숲속 산림 조밀화와 숲 주변 도시화 진행 등으로 산불발생 가능성이 예년보다 높을 것으로 분석했다.  

이에 따라 산림청은 각종 소각행위로 발생하는 산불을 차단키 위해 지자체, 농진청 등과 ‘찾아가는 영농부산물 파쇄’를 확대하고, 산림 연접지 화목보일러 재처리 시설 일제 점검 등으로 위험요인을 사전 제거할 방침이다.

소각행위로 산불의 원인이 되는 영농부산물을 파쇄하는 모습. 산림청 

아울러 산불 위험이 높은 지역 183만 ㏊와 등산로 6,887㎞를 입산 통제구역으로 지정, 실화로 인한 피해를 근원적으로 차단할 계획이다.

또 산림청은 AI 기반 산불감시체계 ‘ICT 플랫폼’을 전국 20곳으로 확대에 초기 감지능력을 확보하는 한편 산불상황관제시스템에 요양병원, 초등학교 등 19만 6,000곳을 추가해 국민 안전을 확보한다.

특히 진화자원 투입이 어려운 대도시의 주요 산 100곳과 도서지역에 대한 대응전략을 마련, 신속한 진화를 추진한다.

이와 함께 산림청은 최근 산불 대형화에 따라 해외임차헬기를 도입하는 한편 지자체 및 유관기관 운영 헬기와 공조체계를 강화한다.

한 번에 8,000리터를 운반할 수 있는 대형 산불진화헬기 S-64. 산림청

이를 위해 지자체 운용 헬기 비행안전을 위해 산림청 모의비행훈련장치를 활용한 비행훈련을 연중 지원키로 했다.

아울러 기존보다 담수량이 3배 이상인 고성능 산불진화차 11대를 추가 도입해 야간산불 등에 대한 대응력을 높일 예정이다.

고성능 산불진화차량. 산림청

남성현 산림청장은 “영농부산물 파쇄, 전력설비 주변 위험목 제거, 헬기 공조체계 강화 등 범부처 협력으로 산불피해 최소화에 총력을 다하겠다”며 “산불의 99%가 부주의로 인해 발생하는 만큼 국민여러분의 협조와 관심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29일 정부대전청사에서 올해 산불방지대책을 브리핑하는 남성현 산림청장. 산림

정부대전청사=이재형 기자 jh@kukinews.com
이재형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T1, 1라운드 5승4패 마무리…DN, 9연패 수렁

T1이 DN 프릭스를 꺾고 상승 곡선을 그린 채 1라운드를 마쳤다.T1은 2일 오후 5시 서울 종로구 롤파크 LCK 아레나에서 열린 ‘2025 LCK’ 정규시즌 1라운드 DN 프릭스와 경기에서 세트스코어 2-0으로 승리했다.연패를 막은 T1은 1라운드를 5승4패로 마치며 2라운드 반등의 발판을 마련했다. 반면 DN은 2023 LCK 서머 2라운드 이후 처음으로 라운드 전패 수모를 겪었다.양 팀은 1세트 난전을 벌였다. DN은 2용, T1은 5유충을 획득했다. 여기서 T1이 한발 앞서갔다. 18분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