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17일 (토)
‘창원 액화수소플랜트’ 준공…국내 최초⋅세계 9번째

‘창원 액화수소플랜트’ 준공…국내 최초⋅세계 9번째

기사승인 2024-01-31 17:42:10
국내 최초이며 세계 9번째 시설인 '액화수소 플랜트'가 창원국가산업단지 일원에 들어섰다.

31일 두산에너빌리티 창원 본사에서 박찬기 산업통상자원부 수소경제정책관, 홍남표 창원특례시장, 류명현 경상남도 산업국장, 이현호 두산에너빌리티 Plant EPC BG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창원 액화수소플랜트’ 준공식이 열렸다.

강종효 기자
k123@kukinews.com

수소는 일반적인 상온에서 기체로 존재하나 영하 253oC에서 액화(液化)수소로 변환하면서 같은 공간에 기체 수소 대비 8배 많은 액화 수소를 저장할 수 있으며 초고순도의 특성으로 인해 해외 선진국에서는 우주발사체 및 로켓의 추진 연료,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제조의 연료, 야금(冶金) 산업의 금속산화물 저감 및 산화방지 용도, 반도체 제조공정의 불화수소 제조 용도 등 다양한 산업계에서 액화수소가 활용되고 있다. 

특히 액화수소는 고중량의 화물을 옮기는 대형 우주발사체의 추진 연료로 사용된 관계로 미국, 러시아, 프랑스 등 우주산업이 발달한 선진국에서만 생산·사용돼 왔다.


경상남도와 창원특례시는 미래 수소도시에서의 대용량 수소 생산·공급을 위해서는 장기적으로 액화수소가 필요하다고 판단해 출자출연기관인 창원산업진흥원을 통해 2020년 정부의 ‘산업단지 환경개선펀드사업’ 주간사업자로 선정된 이후 총 사업비 950억원(국 170억원, 도 40억원, 시 60억원, 민자 680억원)을 투입해 액화수소플랜트 구축사업 추진을 지원해왔으며 주요 설비의 국산화를 위해 주기기를 제외한 보조 기기와 액화수소 이송·저장 설비에 국내 기술을 적극 도입했다. 

창원 액화수소플랜트는 천연가스를 개질해 고순도의 기체 수소를 생산한 후 핵심설비인 콜드박스를 통해 영하 253oC로 냉각해 국내 최초로 액화수소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하루 5톤, 연간 최대 1825톤의 액화수소가 생산·공급된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이 플랜트의 EPC(설계·조달·시공)를 맡아 지난해 8월 준공 이후 시운전을 진행했으며 향후 30년간 운영 및 유지보수(O&M)를 맡을 예정이다. 이 플랜트는 하루 5톤, 연간 약 1800톤의 액화수소 생산이 가능하다. 


준공식과 함께 액화수소 충전소와 버스 보급·확대를 위한 다수의 업무협약도 체결됐다. 경상남도와 창원특례시는 액화수소 충전소 구축을 위한 행정적 지원을 수행하고 관내 기업들과 운수·여행사들은 직원용 통근버스와 시내버스를 수소버스로 도입하는 것을 추진한다. 액화수소 공급사인 하이창원은 액화수소 공급처(20개사)와 구매협약을 맺었다.

두산에너빌리티 이현호 BG장은 "무탄소 에너지원인 수소 관련 기술 개발과 생산 능력 확대에도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홍남표 시장은 "저장 및 운반 용량이 매우 큰 액화수소의 생산·공급을 통해 고성능 수소모빌리티 개발의 지원뿐만 아니라, 액화수소를 필요로 하는 화학, 반도체, 우주발사체 분야 산업의 발전과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만큼 액화수소를 통한 국내 수소산업 발전을 창원이 선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류명현 경상남도 산업국장은 "액화수소 보급․활용을 위해 적극 지원하겠다"며 "창원, 김해, 밀양을 중심으로 수소특화단지를 조성하고, 글로벌 수소기업을 육성하는 등 도내 수소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창원=강종효 기자 k123@kukinews.com
강종효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인제 설악그란폰도 대성황…전국 5000여 마니아 '은빛 질주'

전국 자전거 동호인들의 대축제인 2025 설악그란폰도 대회가 17일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이날 강원 인제군 상남면을 중심으로 홍천군과 양양군 일대에서 열린 이번 대회에는 전국에서 5000여 마니아들이 몰려 명성을 실감하게 했다.전국 최고의 자전거 대회로 알려진 설악 그란폰도는 치열한 접수령을 넘은 5003명의 동호인이 그란폰도(208km), 메디오폰도(105km)에 참여해 힘찬 라운딩을 펼쳤다참가자들은 상남면 시가지에서 출발해 원당삼거리~구룡령~서림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