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1일 (금)
아픈데 병원에선 이상 없다?…불안·분노가 통증 키운다

아픈데 병원에선 이상 없다?…불안·분노가 통증 키운다

기사승인 2024-04-16 10:52:32 업데이트 2024-04-16 11:05:48
박혜연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분당서울대병원
김은빈 기자
eunbeen1123@kukinews.com

몸이 아픈데, 병원에선 이상이 없다고 하는 신체증상장애로 인해 불안감을 느끼는 환자가 통증을 더 심각하게 느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은 박혜연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연구팀(아주대 박범희 교수)이 신체증상장애 환자 74명과 건강한 대조군 45명을 대상으로 기능적 MRI 검사, 혈액 검사, 임상심리학적 검사, 혈액 내 신경면역표지자, 임상증상점수(신체증상, 우울, 불안, 분노, 감정표현 장애) 등을 분석해 이같은 결과를 도출했다고 16일 밝혔다. 

신체증상장애는 뚜렷한 원인 없이 통증, 피로, 소화불량, 어지럼증 등 신체적 증상이 지속되는 질환이다. 증상으로 인해 일상에 큰 지장을 받지만 원인을 찾기 위한 검사에서는 이상소견을 보이지 않는 경우가 흔하다. 

신체증상장애는 신체 감각이나 자극, 감정, 스트레스를 처리하고 조절하는 데 핵심적 역할을 하는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Default Mode Network, DMN)의 기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DMN은 멍한 상태 또는 명상에 빠졌을 때 활발해지는 뇌 영역이다. 

연구 결과 신체증상장애 환자들은 대조군에 비해 더 심각한 신체증상과 기분증상을 보였고, 일부 DMN의 연결성이 저하된 것을 확인했다. 특히 불안과 분노가 신체증상과 DMN의 기능적 연결성 관계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불안하거나 화가 날 때 복통, 어지럼증 같은 통증을 더 심하게 경험하게 된다는 것이다.

신체증상의 기전을 다양한 기분증상에 초점을 맞춰 뇌 기능적 연결성 및 신경면역지표 등 다차원적 요인으로 탐색한 최초의 연구라고 연구팀은 전했다. 기분이 뇌 기능에 매개 역할을 함으로써 신체증상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과학적 근거를 마련한 것에 의의가 있다.

박혜연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불안이나 분노 등 기분증상이 동반된 신체증상장애 환자는 기분증상을 관리해 신체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며 “DMN가 신체증상장애에 주요한 허브임을 확인한 만큼 관련 인지행동치료나 신경자극치료 등을 적극적으로 시도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뇌과학 분야 저명 학술지인 ‘뇌, 행동 면역(Brain, Behavior and Immunity, IF 15.1)’에 게재됐다.

김은빈 기자 eunbeen1123@kukinews.com
김은빈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나경원 “이번 대선은 체제전쟁…이재명 꺾을 것”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이 "위험한 이재명을 꺾고 승리의 역사를 만들겠다"며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나 의원은 11일 오후 2시쯤 국회 본청 계단 앞에서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 선언'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말했다. 이어서 그는 "무너져가는 대한민국을 바로 세우고 진정한 국민 승리의 시대를 열겠다"고 덧붙였다. 나 의원은 이번 대통령 선거를 '체제 전쟁'에 비유하며 "자유 대한민국을 지켜낼 것이냐, 아니면 반자유·반헌법 세력에게 대한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