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4일 (금)
전세사기 피해자 78%, "보증금 회수가 힘들 것 같다"...현실적 대안 마련되야!

전세사기 피해자 78%, "보증금 회수가 힘들 것 같다"...현실적 대안 마련되야!

부산시, 「전세 피해자 대상 피해 설문조사 결과」
◈ (추가 지원대책) ▲선구제 후회수 ▲관계자 처벌 강화 ▲이자 지원 확대 등 (피해예방책) ▲전세사기 처벌강화 ▲반환보증(보험) 개선 ▲세입자 권리보장 등 의견 제시

기사승인 2024-05-21 10:02:06 업데이트 2024-05-21 15:13:38
전세사기 피해자의 78%가 "보증금 회수가 힘들 것 같다"고 응답했으며 사유로는 사유로는 임대인 파산(잠적, 구속)과 경매진행, 선순위(근저당) 등으로 파악돼 피해자들을 위한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023년11월 전세사기 피해자 대책위원회 기자회견
최광수 기자
anggi4@kukinews.com

부산시는 실질적인 전세피해 지원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지난 4월 「전세 피해자 대상 피해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전체 56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는 지난 4월 17일부터 30일까지 진행됐으며, 전세 피해자 및 전세피해지원센터 방문자 등 719명이 응답했다

2024년3월 전세사기 특별법 개정 촉구 기자회견

조사결과 현재 피해주택에서 거주하는 비율은 72퍼센트(%)로 나타났다. 거주 사유는 보증금 미회수(회수 후 이주) 및 이주 시 전세자금대출금을 상환해야 한다  96.2퍼센트(%)로 조사됐다.

이와함께 이주 시 문제점과 애로사항으로는 돈이 없음(비용 문제, 경제적 사정), 보증금 미회수, 전세 보증금 상환 등으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에서 전세자금 대출·차입금 규모는 5천만 원~1억 원 미만이 64.4퍼센트(%)로 응답했고, 돈을 빌린 방법은 제1금융권 정책대출이 64.6퍼센트(%)로 가장 많았으며 대출과 관련한 어려움은 고금리로 인한 부담이 41.7퍼센트(%)를 차지했다.

2024년2월 HUG 사장 규탄, 1인 시위 돌입 기자회견

피해 전세보증금 규모는 5천만 원 이상~1억 원 미만이 가장 많았으며, 임차인이 선순위 근저당이 있는 상태에서도 계약한 이유로는 중개인의 설득(속임)이 가장 많이 차지해 중개인 등 적극 가담한 혐의 등이 있는 관련자들에 대한 보다 강력한 처벌이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이다.

그리고 전세보증금반환보증(보험)은 미가입한 상태가 96퍼센트(%)로 압도적으로 많아 사회 문제화와 함께 이에 대한 논의와 대안 마련도 시급한 실정이다.

이밖에 피해주택의 유형은 오피스텔 및 다세대주택이 90.8퍼센트(%)고, 세대 규모는 20~50세대 미만이 절반을 차지했으며 공용부분의 누수(침수) 발생, 타일파손, 소방시설·씨씨티비(CCTV)·엘리베이터·주차타워 고장 등 하자 발생이 많아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피해자들이 필요한 추가 지원대책으로는, 선구제 후회수, 관계자 처벌 강화, 20년 분할 상환, 이자 지원 확대 등으로 조사됐는데 이구동성으로  전세사기 처벌 강화를 주장한 것이 두드러졌다.

부산=최광수 기자 anggi4@kukinews.com
최광수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고요한 관저…‘자연인 윤석열’‚ 서초 사저로 간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이 결정된 가운데 한남동 대통령 관저는 무거운 정적에 휩싸였다.헌법재판소는 4일 윤 전 대통령 탄핵심판에서 파면 결정을 선고했다. 앞서 윤 전 대통령 변호인단은 "질서 유지와 경호 문제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윤 대통령은 헌재에 출석하지 않는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윤 전 대통령은 헌재의 탄핵심판 선고를 관저에서 TV로 지켜본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실은 아직 파면에 대해 공식 입장을 내지 않고 있다. 윤 전 대통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