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1일 (금)
기계연, '초대형 투명스크린 세계 최초 상용화'

기계연, '초대형 투명스크린 세계 최초 상용화'

정준호 책임연구원, ㈜메타투피플과 공동 개발
저비용 고선명도 실현, 실내외 유연한 장착 가능

기사승인 2024-07-03 19:13:42 업데이트 2024-07-04 00:06:42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이 주변 환경에 따라 투명도를 자유자재로 조절하는 초대형 투명스크린을 세계 최초로 상용화했다.

나노 투명스크린에 대해 설명하는 정준호 책임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이재형 기자
jh@kukinews.com

투명스크린은 전시대, 스마트윈도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았지만 고가의 제작비 때문에 상용화가 어려웠다. 실제 기존 100인치 투명 OLED는 1억 원이 넘는데다 해상도도 낮아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기계연 나노리소그래피연구센터 정준호 책임연구원팀은 ㈜메타투피플과 공동으로 주변 조명과 영상정보에 따라 투명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100인치 나노 투명스크린 상용화에 성공했다. 

연구팀은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를 고르게 분산시켜 머리카락 두께의 필름을 제작했다. 이를 통해 어느 방향에서도 선명하게 볼 수 있는 시야각 170도를 확보했다.

또 이를 PDLC 필름과 겹쳐 상세한 영상을 구현할 때 PDLC 투명도를 낮춰 선명한 화질이 가능토록 적용했다.

고투과 나노 투명스크린 작동원리. 한국기계연구원

특히 연구팀이 개발한 나노 투명스크린은 롤 연속공정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해 제작비용을 기존 OLED 대비 10% 수준을 낮출 수 있다.

아울러 고온이나 저온 환경에서도 원래의 빛 특성을 유지해 가볍고 유연한 필름형태로 실내뿐 아니라 실외에도 설치할 수 있어 높은 활용도을 기대할 수 있다. 

류석현 기계연 원장은 “이번 성과는 기계연이 원천특허기술을 출자해 설립한 연구소기업과 공동개발로 실용화 한 성과”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에 개발한 나노 투명스크린은 3일 경기도 일산시 킨텐스에서 개막한 ‘나노코리아 2024’에 공개됐다.

대덕특구=이재형 기자 jh@kukinews.com

이재형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목욕하실 시간입니다”…광화문 세종대왕·이순신 장군 동상 세척

서울 광화문광장의 세종대왕 동상과 이순신 장군 동상이 봄을 맞아 목욕을 한다.서울시는 오는 15일 오전 9시부터 16일 오후 6시까지 광화문광장의 세종대왕 동상과 이순신 장군 동상 세척 작업을 한다고 밝혔다.시는 광화문광장 내 동상의 보존·관리를 위해 매년 전문 인력을 동원해 세척 작업을 하고 있다. 세척은 물청소와 이물질 제거 작업 등 4단계로 이뤄진다.우선 시는 저압세척기와 부드러운 천을 이용해 동상 표면의 먼지와 이물질 제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