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와 현재 공존하는 서울…‘개발-문화유산’ 조화 이룰 묘수는

과거와 현재 공존하는 서울…‘개발-문화유산’ 조화 이룰 묘수는

서울시 “문화재 높이 제한 등 규제 완화 급선무”
2024 도시공간정책 콘퍼런스

기사승인 2024-07-25 13:56:45
25일 오전 서울 중구 서소문1청사 대회의실에서 ‘2024 도시공간정책 콘퍼런스-과거와 미래가 공존하는 매력도시 서울’이 열렸다. 사진=임지혜 기자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은 지난해 국제 관광객이 찾는 100대 도시 14위에 올랐다. 늘어난 외국인 관광은 서울 도시 공간 변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하지만 서울 도심 곳곳이 문화재 관련 규제로 노후화되고 있으며, 문화유산마저 고립되는 상황이다. 문화유산을 보호하면서 경쟁력 있는 개발로 공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서울시와 각계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댔다. 

유창수 행정2부시장은 25일 오전 서울 중구 서소문1청사 대회의실에서 열린 ‘2024 도시공간정책 콘퍼런스-과거와 미래가 공존하는 매력도시 서울’에서 “서울시 문화유산이 획일적인 기준에 의해 ‘보존’에만 치중돼왔으며, 시민의 일상생활과 동떨어져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글로벌 관광도시 서울의 문화유산이 시민과 일상성을 함께 하며 변화하는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은 우리가 함께 고민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한국도시부동산학회와 공동 주최한 이번 행사엔 각계 전문가 및 시민 15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강연에 나선 구자훈 한양대학교 교수는 “서울 도심 문화유산은 도시 경쟁력을 강화하는 매우 중요한 자산”이라며 “문화유산의 보존과 주변 지역 개발은 상반된 개념이 아니다. 선진 글로벌 도시들은 이미 문화유산을 체계적인 도시계획의 개선 기회로 생각하고 미래 시대에 맞는 도시 환경으로 개선하기 위해 집중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25일 오전 서울 중구 서소문1청사 대회의실에서 열린 ‘2024 도시공간정책 콘퍼런스-과거와 미래가 공존하는 매력도시 서울’에서 구자훈 한양대학교 교수가 발표하고 있다. 사진=임지혜 기자

세계관광기구(UN Tourism)에 따르면 최근 도시 관광객 증가 속도는 전체 관광객 증가 속도의 약 3배에 달한다. 방문 지역의 살아있는 일상 경험을 원하는 게 최근 관광 트렌드다. 이에 각 국가는 도시재생전략으로 관광 활용을 늘리고 있다. 

심창섭 가천대학교 교수는 “최근 관광적으로 매력적인 도시는 ‘살기 좋은 도시”라며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들어 여러 기능이 제 역할을 하고 여러 가지 매력이 자생적으로 만들어지면 관광적으로 매력있는 도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문화유산이 여러 변화의 흐름 속에 있다. 문화적인 측면에서의 지속 가능성은 보전과 활용의 최적 수준을 찾아가는 것”이라며 “문화유산과 도시계획의 만남, 새로운 아이디어들이 접목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 자체가 진짜 서울을 만들어가는 과정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안희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관광정책연구실장도 “내일 파리올림픽이 개막하는데, 이번 파리올림픽은 기존 경기장 틀을 벗어나 도시가 가지고 있는 과거와 현재 관련 랜드마크를 배경으로 경기를 펼친다고 해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고 있다”며 “이처럼 도시가 가진 다양한 공간적 스펙트럼과 시간적인 추이가 다양하다는 것은 관광에도 매우 큰 자산”이라고 말했다. 

25일 오전 서울 중구 서소문1청사 대회의실에서 열린 ‘2024 도시공간정책 콘퍼런스-과거와 미래가 공존하는 매력도시 서울’에서 신윤철 서울시 도시재창조과장이 발표하고 있다. 사진=임지혜 기자

다만 서울시 도시개발정책과 국가유산청(옛 문화재청) 문화재보호 규제는 빈번히 충돌하고 있다. 무분별한 개발로 문화재가 훼손되는 일을 방지해야 한다는 입장과 높이 제한 등 각종 규제로 도시 슬럼화를 야기한다는 입장이 맞부딪힌다. 

이날 모인 각계 전문가들은 도시 개발과 문화유산 보호로 과거와 미래가 공존하는 도시재생 방향에 공감했다. 최종덕 전 국립문화재연구소장은 “미국도 처음엔 문화유산과 도시계획 분야가 적대적인 관계에 있었다고 한다”며 “차츰 동기로 발전해, 도시 계획을 할 때 문화유산을 고려하고 문화유산 보호할 때 도시 계획을 고려하는 관계로 발전됐다고 한다”고 말했다. 

최 전 연구소장은 “국가유산청 조직이 크지 않다. 지방자치단체가 가지고 있는 개별적인 특성을 고려할 역량이 충분하지 않다”며 “서울시 등 지자체가 무엇을 연구하는지, 문화유산 보호와의 협연에 대한 구체적인 정책을 세워 국가유산청에 제안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시는 다양한 역사적 자산과 현대적 건축물이 공존하는 서울 도심부에서 역사 문화적 특성을 살려 매력과 활기가 넘치는 도심 구현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시는 △흥인지문, 도심에서의 조망·경관 조화를 위한 개선(안) △문화유산 주변에서 필수 조망을 선별·집중해 실효성 있는 조망·경관축 마련 △관리체계 개선을 위한 문화유산 유형 세분화 △근현대문화유산 활용 강화를 위한 ’현상변경 허용기준‘ 완화 △고궁·공원 등 시민 개방 적극 추진 △환구단·탑골공원 등 담장 허물고 시민 접근성 향상 △주변에서 문화유산을 바라보는 경관 중심으로 관리체계 개선 △도심활성화를 위한 실효성 있는 조망·경관축 제안 △문화유산별 주변지역 맞춤형 기준 마련 △다양한 규제완화를 통한 창의적이고 혁신적 계획 시도 등을 제안했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청계천 복원 사업을 사례로 들며 “2002년 당시 상당히 어려운 과정을 겪었다”며 “현재 시민들은 청계천 복원을 잘했다고 말한다”고 말했다. 이어 “하나의 문화재에 한 사람은 보석이라고 표현하고 다른 한 사람은 불운이라고 표현한다”며 “(청계천 복원 과정에서) 논쟁이 치열했지만 당시 참여한 많은 분의 말씀을 들어 우리가 현재를 살아가고 있다고 생각한다. 과거와 현재. 문화유산과 기술 개발, 도시 관리 분야의 지속적인 만남은 상당한 의미가 있다. 관련 전문가와 지속적으로 소통하는 등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덧붙였다. 
임지혜 기자
jihye@kukinews.com
임지혜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