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1000만’ 시니어 주택 0.4% 불과…건설업계, 시장 진출 속도

‘노인 1000만’ 시니어 주택 0.4% 불과…건설업계, 시장 진출 속도

기사승인 2024-09-18 06:00:05
2인 액티브시니어  맞춤형 평면. 포스코이앤씨 

국내 65세 이상 인구가 1000만명을 넘어서며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했으나 노인복지주택인 ‘시니어 주택’은 한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건설업계는 시니어 주택을 역점 사업으로 꼽고 사업 확장에 나서고 있다.

18일 통계청의 ‘장래가구 추계(2022~2052년) 결과’에 따르면, 65세 이상이 가구주인 고령가구는 2022년 522만5000가구에서 2052년 1178만8000가구로 23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전체 가구 중 차지하는 비중도 24.1%에서 50.6%로 높아진다. 2022년에는 40~50대 가구주가 전체 가구의 41.8%를 차지했으나 2052년에 비율이 역전돼 70대 이상 가구 비중이 41.5%로 가장 많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고령화로 인해 노인복지주택인 ‘시니어 주택’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시니어 주택은 고령 친화 주거공간으로 고령자 복지주택(공공임대), 실버스테이(민간임대), 실버타운(노인복지주택) 등을 의미한다. 

그러나 국내에 노인을 위한 주거 공간은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노인가구를 대상으로 한 주택 공급은 0.4%에 불과했다. 노인전용주택은 9000호로 매우 저조하고 노인에 적합한 시설기준이 적용된 주택도 2만여호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는 고령화에 대응하기 위해 고령자 특화 공공지원 장기 민간임대주택인 ‘실버스테이’를 도입할 계획이다. 정부는 지난 8월30일 ‘제3차 장기 주거종합계획(2023~2032년)’을 확정‧발표했다. 정부는 시니어 리츠 활성화를 통해 고품질 노인복지시설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공공임대주택 연간 10만가구 중 1만2000가구를 고령층 공공임대로 공급하고 지역 복지 자원과 연계해 맞춤형 주택 공급으로 고령자가 살기 좋은 주거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건설업계에서도 시니어 주택 공급에 속도를 내고 있다. 현대건설은 이지스자산운동과 공동으로 서울 은평구 진관동 시니어타운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시니어타운은 지하 6층~지상 14층 규모 노인복지주택 214가구(임대)규모로 연내 착공이 예정됐다. 

대우건설도 올해 전략 과제 중 하나로 실버주택 특화를 꼽고 노인복지주택 상품을 개발을 준비 중이다. HDC현대산업개발 역시 시니어 하우징을 올해 역점 사업으로 정했다. 현대산업개발은 현재 자체 사업인 ‘서울 광운대역 역세권 복합개발사업(H1 프로젝트)’에 실버타운 격인 ‘웰니스(건강관리) 레지던스’ 조성을 준비 중이다.

롯데건설은 서울 강서구 마곡 마이스 복합단지에 시니어 레지던스인 ‘VL르웨스트’를 짓고 있다. 지하 6층~지상 15층, 4개 동, 총 810가구 규모로 내년 10월 입주 예정이다. 한미글로벌 자회사인 한미글로벌디앤아이도 내년 3월 서울 송파구 위례신도시에 총 115가구의 도심형 시니어 주택 ‘위례 심포니아’를 공급을 앞뒀다. 

포스코이앤씨는 저출산‧고령화로 변화하는 인구구조에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주거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미래 가족구성 형태를 3~4인 가족에서 나아가 비혼·딩크·액티브 시니어 등 1~2인 가구 및 3세대 동거 가족 등으로 다각화했다. 시니어 부부 안방에는 침실 내부에 전용 거실공간을 조성해 독립성을 강조했다.

업계에서는 더 많은 시니어 주택 공급을 위해서는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고령 인구가 늘어나며 시니어 주택에 대한 수요는 높다”며 “업계에서도 포토폴리오 다각화 차원에서 눈여겨보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임대로만 운영 가능해 사업 초기 비용이 많이 들어 자금력이 되는 건설사 외에는 부담되는 상황”이라며 “규제가 더 완화된다면 더 많은 건설사들이 사업에 뛰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조유정 기자
youjung@kukinews.com
조유정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