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6일 (화)
한강 돌아오는 야생생물들…서울시 자연성 복원 성과

한강 돌아오는 야생생물들…서울시 자연성 복원 성과

기사승인 2024-09-23 13:52:34
생태탐방로. 서울시
임지혜 기자
jihye@kukinews.com

올해 서울 한강의 자연형 호안(강물 침식 등을 막기 위해 비탈에 설치하는 공작물)이 지난 2007년과 비교해 약 90%가량 복원된 것으로 나타났다. 수목이 4배 이상 증가했고 서식하는 생물종은 30% 가까이 늘었다.

시는 한강 자연성 회복을 위한 사업을 집중적으로 추진, 지난해 3월 발표한 두 번째 한강르네상스 ‘그레이트한강 프로젝트’를 계기로 한강 생태계의 자생력을 획기적으로 높이고 생물종다양성을 확대하는데 박차를 가하겠다고 23일 밝혔다. 

이를 위해 △자연형 호안·한강 숲을 확대하고 생태공원을 재정비하는 ‘자연성 복원’ △한강 생태에 대한 시민 관심과 공감대를 높이기 위한 ‘자연형 체험공간·프로그램 확대’ 등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지난 2007년부터 한강르네상스의 일환으로 한강 자연성을 회복하고 생물종 다양성을 높이기 위한 사업을 다각적으로 추진해 왔다. 

그 결과 2007년 1608종이었던 한강 생물종은 2022년 2062종으로 늘었고, 멸종위기야생생물Ⅰ급이자 천연기념물인 수달, 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인 삵·맹꽁이, 천연기념물인 황조롱이·수리부엉이 등의 서식이 확인됐다.

시는 내년까지 콘크리트가 깔린 한강변 호안의 94%(복원 대상구간 57.1㎞ 중 53.7㎞)를 흙·자갈, 수생식물이 식재된 자연형으로 복원한다. 현재는 복원 대상구간의 86%인 49.5㎞가 자연형 호안으로 복원돼 있다.

지난해 호안과 둔치에 버드나무, 명자나무, 팽나무, 산딸나무 등 8만주를 심은 데 이어 올해 7만주와 내년 6만여주를 추가 식재해 총 370여만 그루가 심어진 한강 숲을 조성한다. 한강 생태계가 자생력을 갖추고 생물종다양성을 유지하며 기능할 수 있게끔 조성한 5곳의 한강생태공원을 대상으로 각 지역 맞춤형 재정비에도 들어간다.

조성된 지 30년 넘은 잠실한강공원 수영장은 사계절 활용할 수 있으면서도 자연 친화적인 복합문화공간 ‘자연형 물놀이장’으로 조성했다. 이어 광나루·잠원·망원 수영장도 정비할 계획이다. 

시는 5곳의 한강생태공원에서 시민들이 생물종다양성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한강의 자연을 경험해 볼 수 있는 생태 프로그램을 연중 운영한다.

주용태 서울시 미래한강본부장은 “서울의 허파라 불리는 한강은 도시를 유지하는 데 없어선 안 될 생태계의 보고”라며 “한강르네상스로 자연성 회복의 단초를 마련했다면, 앞으로는 그레이트한강 프로젝트를 통해 한강 본연의 모습에 가까운 생태계 복원을 이뤄내 더 다양한 생물과 사람이 건강하게 공존하는 공간으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임지혜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대선에 ‘페이커’ 끌어들이기?…김문수, 사진 무단 도용 논란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가 2030 세대와 e스포츠 상징인 ‘페이커’ 이상혁의 사진을 무단 사용했다. 이상혁의 소속 구단인 T1은 즉각 대응에 나섰다.김 후보는 지난 5일 자신의 공식 X(구 트위터)에 이상혁의 시그니처 세리머니인 ‘쉿’ 포즈를 따라 한 프로필 사진을 게시했다. 해당 게시물에는 이상혁이 같은 포즈를 취한 사진도 함께 올라와 동일한 구도를 연출했다.‘쉿’ 세리머니는 한국조폐공사의 ‘페이커 기념메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