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무전공학과 성공하려면…“입학·졸업 전후 전폭 지원 필요”

대학 무전공학과 성공하려면…“입학·졸업 전후 전폭 지원 필요”

서울대 등 7개 대학 전공자율선택제 성과 공유

기사승인 2024-10-21 19:20:18
김희연 세종대학교 교육혁신처장이 21일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전공자율선택제 성과 공유회(포럼)’에서 발표를 이어가고 있다. 사진=유민지 기자

정부의 교육개혁 과제 중 하나인 무전공 입학(전공자율선택제)의 성공적 운영을 위한 대학별 사례 발표의 장이 열렸다. 대학과 재학생들은 전공자율선택제는 시대 변화에 따라 필연적인 변화라는 것에 동의하며 입학 전부터 졸업까지 기초학문 향상 및 취‧창업 등에서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21일 교육부는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전공자율선택제 성과 공유회(포럼)’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세종대학교, 충북대학교, 대전대학교, 광운대학교, 서울대학교, 대진대학교, 연세대학교에서 전공자율선택제에 대한 사례 발표가 있었다. 전공자율선택제의 최종 수혜자인 학생들의 발표도 함께 진행됐다.

각 대학들은 학생들의 전공 선택권을 보장하고, 진로 탐색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하고 있는 방안을 공유했다.

세종대학교는 인적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교수, 재학생, 졸업생 등과 멘토링을 강화해 진로 탐색 기회와 설계를 지원했다. 김희연 세종대학교 교육혁신처장은 “올해부터 모든 학과에 신입생을 수시 면담하고 지도하는 AA교수제도를 도입해, 6월 기준으로 40개 학과에서 총 67명의 교수들을 배정해 상담률을 86.2%까지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학생들은 또래 상호작용이 중요하기 위해 기존 단과대학 단위에서 추진해 온 멘토링제도를 학과와 전공으로 확대했다”며 “졸업생과 재학생의 만남의 날 활성화 등으로 학생들이 주도해서 전공과 진로를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전공자율선택제 학생들의 가장 큰 고민은 선택 전공에 대한 기초학력 부족이다. 입학 후 1년 동안 전공 탐색 시간을 가지기 때문에 학과별 기초학력이 일반 학생들보다 떨어지기 때문이다. 충북대는 기존 자유전공학부 과정에서 실시한 비교과 사업을 축소하고 전공 학습을 확대했다.

이정미 충북대학교 재정사업기획부처장은 “기존에는 전공 선택 설계를 위해 인문학, 자연과학, 예체능 소양 교육을 위주로 운영했으나, 학생들의 전공 선택권 보장을 위해 전공 중심으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며 “향후 AI(인공지능) 기반으로 맞춤형 학습지원시스템을 구축해 영어, 수학, 과학 등 특정 교과목을 AI를 통해 자율학습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정석재 광운대학교 기획처장이 21일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전공자율선택제 성과 공유회(포럼)’에서 발표를 이어가고 있다. 사진=유민지 기자

학내 구성원들과 지속적인 소통으로 과감한 혁신을 이룬 대학의 성과 공유도 있었다. 이공계열 중점 대학인 광운대학교가 대표적이다. 정석재 광운대학교 기획처장은 “학생들에게 진정한 전공 선택권을 주기 위해서는 유형1(계열 또는 단과대별 모집 아닌 대학 내 모든 전공 선택 가능)로 가야 한다고 판단해 내년도 자율전공 신입생 전원을 유형1로 선발한다”며 “이를 위해 우리 대학의 대표학과이자 학과 인원이 많은 대형과 교수님들을 설득해 자율전공 인원을 전체 신입생의 25%로 구성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자율전공 입학생들의 소속감을 강화하고 안정적인 학교생활 안착을 위해 ‘분반주임교수제’와 ‘전공탐색지도교수제’ 등을 활용해 학생들을 밀착 관리할 예정”이라며 “이공계열 중심 대학도 전공자율선택제에서 우수한 성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겠다”고 강조했다.

다양한 경험과 체험을 통해 학생들의 학업과 진로를 지원하는 대학도 있었다. 이원빈 대전대학교 기획처장은 “학생들이 다양한 분야의 저명한 인사들의 특강을 통해 진로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다방면의 명사 초청 특강을 진행하고 있다”며 “인문, 사회, 자연 기초학문 소양 및 포괄적 지성을 확립하기 위해 전국의 다양한 현장을 탐방하는 프로그램도 운영 중”이라고 말했다.

학생들도 전공자율선택제가 필요한 제도라는 데에는 동의하고 있었다. 다만 학내 의사결정 구조에서 재학생들이 배제되는 등 적극적인 소통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상천 교육부 2030 자문단은 “전국대학학생회 네트워크에서 학생 대표들과 소통한 결과 제도 자체에 대해 필요하다는 견해차가 컸으나, 다수의 학내 갈등 사례를 분석해 보니 학생들과의 협의보다 통보가 많았다”며 “학생 대표자들과 적극적인 협의 과정에서 상황과 맥락을 자세히 설명해 줬으면 한다”고 전했다.

수업권 침해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인기 학과의 경우 학생 수에 비해 교수와 강사가 부족해 개설 강의가 부족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김 자문단은 “인기 학과의 강의 추가 개설과 함께 소수학과의 강의 개설 기준 완화 등 유연한 대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유민지 기자
mj@kukinews.com
유민지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오피니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