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태용 김해시장은 26일 김해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가야고분군 세계유산 통합관리기구 설립 장소가 김해시로 최종 결정됐다"고 밝혔다.
박석곤 기자
p2352@kukinews.com
이는 지난 9월과 11월 국가유산청의 중재로 열린 회의에서 가야고분군을 둔 7개 지자체가 통합관리기구 설립 장소를 김해시로 결정한 데 따른 것이다.
이런 배경에는 김해의 경우 가야문명의 발원지답게 가야문명의 역사성과 상징성을 보유하고 있다. 사통팔달의 광역교통망과 다양한 도시기반시설의 구축으로 가야고분군의 다양한 통합 관광사업을 다른 지자체들보다 훨씬 편리하고 용이하다. 더불어 국립가야문화유산연구소와 국립가야역사문화센터, 국립김해박물관 등이 모여 있어 세계유산 통합기구의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업무 수행이 가능해 가야고분군통합관리에 시너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점이 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 같은 결정에 따라 '가야고분군 통합보존활용추진위원회'는 이날 오후 김해시 주촌면 중소기업비즈니스센터 내 경남연구원에서 회의를 개최했다.
회의에서 추진위는 가야고분군 세계유산통합관리지원단 운영 방안과 관련 업무협약서 개정, 지자체 간 분담금 등 2025년도 예산편성(안)을 심의 의결했고 구체적인 기구 설립 방안과 방향성을 논의했다.
가야고분군은 경남과 경북, 전북지역 등 7곳 기초지자체들이 보유하고 있다. 해당 지자체들은 가야고분군 세계유산 등재 이후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의 권고사항 이행과 일관성 있는 통합 보존 관리체계를 구축하고자 가야고분군 통합관리기구의 조속한 설립을 추진해왔다.
2023년 9월 개최한 제43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7개 가야고분군은 주변국과 자율적이고 수평적인 독특한 정치체계를 유지하며 동아시아 고대문명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가 된다는 점을 들어 "고분군으로서 탁월한 보편적 가치가 인정된다"며 세계유산으로 지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