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8일 (금)
300인 이상 사업체 대졸초임 5000만원 돌파…중소기업 임금격차 커졌다

300인 이상 사업체 대졸초임 5000만원 돌파…중소기업 임금격차 커졌다

기사승인 2025-01-12 18:13:54
쿠키뉴스 자료사진
정순영 기자
binia96@kukinews.com

300인 이상 사업체의 정규직 대졸 초임 평균이 5000만원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12일 발표한 ‘우리나라 대졸 초임 분석 및 한‧일 대졸 초임 비교’에 따르면 국내 300인 이상 사업체 정규직 대졸 초임은 평균 5001만원으로 분석됐다.

임금 총액은 2023년 기준으로 34세 이하 정규직 대졸 신입사원이 받은 정액 급여에 정기상여·변동상여 등 특별급여를 더하는 방식으로 계산됐다.

전체 대졸 정규직 초임 평균은 3675만원으로 사업체 규모에 따른 임금 격차가 큰 것이 특징이다.

300인 이상 사업체를 기준으로 300인 미만 사업체의 정규직 대졸 초임은 64.7%(3238만원)이었으며, 30∼299인 사업체는 71.9%(3595만원), 5∼29인은 61.4%(3070만원), 5인 미만은 54.6%(2731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 총액에 초과급여를 포함할 경우 300인 이상은 5302만원, 30∼299인 3735만원, 5∼29인 3138만원, 5인 미만 2750만원이었다.

500인 이상 한국 대기업의 대졸 초임은 일본 대기업(1000인 이상)보다도 크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국의 29세 이하 대졸 상용직 신규 입사자의 임금 총액(초과급여 제외)을 분석한 결과 한국 대기업의 대졸 초임은 구매력평가(PPP) 환율 기준 5만7568달러로 일본 대기업(3만6466달러)보다 57.9% 높았다.

전체 평균(10인 이상)은 한국이 4만5401달러, 일본이 3만4794달러였다.

대졸 초임을 1인당 국내총생산(GDP)과 비교해도 한국(78.2%)이 일본(69.4%)보다 높았고 대기업끼리 비교하면 26.5%포인트(한국 99.2%·일본 72.7%)로 격차가 커졌다.

10∼99인 사업체와 비교했을 때 일본 대기업 초임은 114.4%, 한국 대기업 초임은 149.3%로 나타났다.
정순영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1
  • 화나요
    0
추천기사

경제 불황 속 제약바이오 ‘유상증자’ 계속…독일까 약일까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과 금리 인상 여파로 자금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가 유상증자에 눈을 돌리고 있다. 혁신신약 연구개발(R&D)과 해외 진출 등 미래 성장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유상증자는 주가 상승의 기회가 될 수 있지만, 자칫 기업 가치를 하락시키고 주주들의 부담을 높일 수 있어 신중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17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초부터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유상증자 소식이 이어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