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5일 (토)
구미시, 밀 제분공장 성과 ‘톡톡’…농가 소득 증대

구미시, 밀 제분공장 성과 ‘톡톡’…농가 소득 증대

경북 최초 밀 제분공장, 첫해 밀가루 80톤 생산
밀·콩 이모작, 쌀 재배 대비 1.9배 높은 수익 창출
구미 산 우리밀 빵 3월23일까지 20% 할인 행사

기사승인 2025-01-26 12:19:42
구미시 밀 제분공장 내부 모습. 구미시청 제공
최태욱 기자
tasigi72@kukinews.com
구미시는 지난해 10월 도개면에 준공한 경북 최초의 밀 제분공장이 80여톤의 밀가루를 생산하며 1억4400만원의 매출을 기록했다고 26일 밝혔다. 

이 공장은 지역 농가의 안정적인 판로 확보와 밀 자급률 향상을 위한 핵심 거점으로 자리잡았다.

구미시는 쌀 소비 감소와 식습관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밀과 콩을 함께 재배하는 ‘이모작’ 방식을 도입해 성과를 거두고 있다. 

쌀 재배 대비 1.9배 높은 수익을 창출하며 농가 소득 증대에 기여했다. 

2024년 125㏊였던 밀+콩 이모작 재배 면적은 2025년 기준 172㏊로 확대됐으며, 콩 단독 재배 면적도 320㏊로 증가했다.

구미시는 올해 도비 5억원과 시비 3억원을 투입해 재배 환경 개선과 농업 생산성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제분공장을 중심으로 밀과 콩 이모작 농업의 새로운 모델을 정립하고 있으며, 삼양사 출신 기술 명장의 컨설팅을 통해 밀가루 품질을 한 단계 높였다. 

이를 기반으로 제과·제빵업체 11개소와 협력을 강화해 유통망을 확장했다.

또한, 구미시는 ‘지음밀愛 빵마을’ 프로젝트를 통해 지역 명소인 초전지와 연계한 체험형 관광 콘텐츠를 기획하고 있다. 

한옥 피크닉과 우리밀 체험 프로그램 등 차별화된 관광 경험을 제공해 방문객 유치와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계획이다.

지난해 6월 열린 소상공인과 협업하는 우리밀 수확 시연 행사 모습. 구미시청 제공 
구미산 밀로 만든 빵은 오는 3월23일까지 20%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되며, 이를 통해 우리밀 제품의 우수성을 알리고 소비자와 농가가 상생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예정이다.

김장호 구미시장은 “밀가루 생산과 관광을 결합한 구미만의 독창적인 모델을 통해 지역 농업의 가치를 높이고,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구미시 밀 제분공장은(398.98㎡)은 하루 최대 60t의 밀가루를 생산할 수 있는 시설로, 49억7000만원의 사업비가 투입됐다. 

건조시설(337.5㎡), 저온 저장고(280㎡), 우리밀 아카데미 체험장(235.2㎡) 등을 갖추고 있다.

구미시는 2028년까지 밀 재배 면적을 600㏊로 확대해 우리밀 제품을 전국에 널리 알릴 계획이다.

구미=최태욱 기자 tasigi72@kukinews.com
최태욱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미국인 2명 중 1명 “트럼프 관세정책 반대”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전 세계를 상대로 막대한 관세를 메기는 가운데 자국 여론도 엇갈리고 있다. 5일 외신에 따르면 지난달 27일부터 엿새간 미국 유권자 1050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여론조사에서 응답자 54%가 트럼프 관세정책에 반대했다. 지난 1월에는 관세정책을 ‘지지(48%)한다’는 응답이 반대(46%)를 앞섰지만 이번엔 지지 응답률이 42%로 감소했다. 응답자 4분의 3은 관세 정책으로 물가 상승을 우려했다. ‘트럼프 경제정책에 반대(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