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헌 시기에 대해서는 “조기 대선을 거쳐 새 정부 출범 후에 국민 대통합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지사는 6일 자신의 SNS에 글을 올려 이같이 밝히고 “혹여 내란죄로 수감 중인 윤석열 면회에서 말을 맞춘 것 아닌지 의심스럽다.”며 짜맞추기 의혹도 제기했다.
김 지사는 또 국민의힘을 ‘내란동조당’으로 규정하고, 개헌 주장을 “지나가는 소가 웃을 일”이라며 “국민의힘이 개헌을 이야기하려면 12‧3 비상계엄의 불법성을 인정하고 윤석열 탄핵에 찬성하라.”고 요구했다.
뿐만 아니라 “전광훈 목사를 비롯한 극우 내란 동조세력과 당장 손을 끊어라.”고 촉구했다.
김 지사는 하루 전인 5일에는 최상목 대통령권한대행의 ‘내란 특검법’ 거부권 행사를 강하게 비판했다.
“‘여야 합의 없이 야당 단독으로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것’을 이유로 들며 거부권을 행사했는데 그렇다면 여야 합의 없는 국회통과 법률은 무효라고 선언한 것이나 다름없다.”며, 대의민주주의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윤석열은 공수처와 검찰수사를 거부하고, 옥중에서 사법부 불신을 조장하는 여론전을 펼쳤다며 “못된 법꾸라지 행태를 단죄하도록 특검을 통해 검찰이 못다 한 수사를 제대로 하고 국기문란 비상계엄과 내란 전모를 명명백백히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