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kuk/image/2025/02/11/kuk20250211000025.646x.9.png)
인천시가 시설개선과 특성화 육성·경영현대화 등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을 통해 지역경제 살리기에 나섰다.
11일 시에 따르면 올해 전통시장 활성화 지원사업 예산은 시설개선 지원사업 101억 5,000만 원과 특성화육성 지원사업 45억 2,400만 원, 경영현대화 지원사업 25억 5,900만 원 등 모두 172여억 원이다.
시는 노후화된 시장의 화재 위험을 줄이기 위해 ‘스마트 전기화재 안전시스템 구축’ 사업을 새롭게 도입해 안전 강화를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
시는 올해부터 2027년까지 관내 51개 전통시장 1만847개 점포를 대상으로 스마트 전기화재 안전시스템을 순차적으로 추진하며 올해 1차 연도에 약 3,200개 점포에 설치를 완료할 계획이다.
스마트 전기화재 안전시스템은 점포별 분전반에 설치한 전기화재 예방 사물인터넷 센서를 통해 과부하, 누전, 이상 전류 등을 24시간 감지하고 위험 발생 시 점포 상인, 시, 군·구, 관할 소방서 등에 문자 알림을 통해 신속한 대응이 가능케 한다.
시는 시설현대화사업으로 33개 시장과 상점가를 대상으로 아케이드, 고객지원센터, 전기·가스·소방시설 및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등 각종 안전시설의 설치와 개보수 등을 지원한다.
상권경쟁력 강화를 위한 특성시장화 육성 지원과 경영현대화 지원사업도 계속된다.
특성화 육성 지원은 전통시장의 경쟁력 강화와 활성화를 위해 추진되는 사업으로 문화관광형시장· 디지털 전통시장·첫걸음시장 육성, 상권르네상스사업 지원으로 나뉜다.
레트로 감성의 테마 거리와 노맥(노가리&맥주)축제를 연계한 간석자유시장, 야시장 운영과 온라인 마케팅을 더한 인천축산물시장, 문화예술복합공간을 꾸민 소래포구전통어시장 등이 지난해 문화관광형 육성 사업 마쳐 방문객 수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시는 올해 신거북·거북·강화풍물·현대·인천강남시장 등은 문화관광형시장, 토지금고·간석자유· 계양산전통·인천축산물시장 등은 디지털 전통시장, 연수구 커낼워크상점가, 만수시장 등은 첫걸음 시장으로 각각 특성화시장 육성 지원사업을 추진한다.
전통시장 상인회 행정인력과 배송 인력 인건비 지원, 전통시장 상인 대상 화재공제 가입비 지원, 매력으뜸 전통시장 육성 등의 전통시장 경영현대화 지원사업도 추진한다.
전통시장 화재공제는 화재에 취약한 전통시장을 대상으로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제공하는 화재보험 상품이다. 보장 금액은 최소 100만 원에서 최대 6,000만 원까지 가입이 가능하다.
인천시는 지난 2023년 7월부터 최소 보장 금액(100만 원) 가입 시 자부담 없이 보험료 전액을 지원하고 그 외 3,000만 원까지의 보장 구간에 80%를 지원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김진태 인천시 경제산업본부장은 “전통시장은 상업 공간을 넘어 지역문화와 역사를 담은 소중한 자산이자 지역 경제의 뿌리”라며 “전통시장이 가진 가치와 가능성을 높여 지역 경제를 견인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활성화 지원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