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kuk/image/2025/02/11/kuk20250211000226.800x.0.jpg)
정부가 자살시도에 대한 사례 관리 서비스를 강화하고 청년층 자살시도자의 치료비 지원 대상을 확대한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11일 17개 시·도 부단체장과 ‘자살예방사업 및 전 국민 마음 투자 지원사업 시·도 간담회’를 개최하고 “자살 유족 원스톱 지원서비스 대상 지역을 지난해 전국 9개 시·도에서 올해 12개로 늘린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지방자치단체에 자살고위험군 집중지원방안을 다시 안내하고, 전 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의 활성화를 독려하기 위해 열렸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증가 추세를 반전시키기 위해 자살 시도자, 자살 유족 등 고위험군을 지원하는 ‘지자체 자살고위험군 집중지원방안’을 시행하고 있다. 해당 방안엔 자살시도자에 대한 사례 관리 서비스를 강화하는 내용이 담겼다. 자살 시도자 사례 관리는 자살시도자의 욕구와 문제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연계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자살 사망자 수는 2022년 1만2906명에서 2023년 1만3978명, 지난해 1~11월 1만3271명으로 해마다 늘어나는 추세를 보였다. 자살시도자의 자살률은 일반인 대비 약 25배, 자살유족의 자살생각률은 일반인 대비 약 10배에 달한다.
정부는 서비스 거부 및 연락 두절 대상자를 수시로 확인해 재유입을 유도하고, 청년층 자살시도자 치료비 지원 대상을 확대하기로 했다. 자살 유족 원스톱 지원서비스 대상 지역도 지난해 전국 9개 시·도에서 올해 12개로 늘리기로 했다. 자살 유족 원스톱 지원서비스는 자살 유족이 충격에서 벗어나 일상을 회복하도록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서비스다.
복지부는 자살 고위험군 사례 관리 현황을 적극적으로 관리하고 점검할 예정이다. 복지부는 지난해 7월부터 우울·불안 등 정서적 어려움이 있는 국민에게 대화 기반의 전문 심리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 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지금까지 1291개소의 서비스 제공기관과 5895명의 서비스 제공 인력이 등록됐고, 5만5053명이 서비스를 신청해 24만1524건의 심리 상담 서비스가 제공됐다.
올해부터는 서비스 유형(1급, 2급) 변경을 희망할 경우 서비스 이용 전 주민등록상 거주지 보건소를 방문해 신청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전 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등록 기준 고시’를 개정해 서비스 제공 공간 기준을 완화했다.
박 차관은 “지자체와 협력해 자살로부터 안전한 사회, 국민의 마음이 건강한 사회를 위해 계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