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kuk/image/2025/02/11/kuk20250211000254.735x.0.png)
정부가 임신 가능성을 예측하는 인공지능(AI) 기술 등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 10대 과제를 공개했다.
보건복지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산업통상자원부·식품의약품안전처 4개 부처는 11일 서울 마포구 YTN 뉴스퀘어 미디어홀에서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의 2025년 10대 대표과제 성과보고회를 개최했다. 성과보고회는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을 통해 지원받은 연구과제 중 우수한 성과를 창출한 과제들을 표창하고 주요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다.
김법민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 단장은 이날 성과보고회에서 “10대 대표과제로 범부처와 사업단의 협력을 바탕으로 사회문제 해결 및 세계 시장 선도를 목표로 개발된 혁신 의료기기들이 선정됐다”고 밝혔다.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은 6년간(2020년~2025년) 총 1조2000억원을 투입해 의료기기 기술 개발부터 임상·인허가, 제품화에 이르는 전주기를 지원하는 대규모 연구개발(R&D) 사업이다.
올해 10대 대표과제는 3대 핵심지표인 △연구개발 수행의 적절성 △기술·의료 분야의 파급 효과 △사회·경제 분야의 파급 효과를 기준으로 46개 기업에서 제출한 성과 중 ‘혁신성’과 ‘성과 창출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선정됐다.
주요 과제로는 세계 최초로 안압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스마트 콘택트렌즈, 배아 발달상황 및 임신 가능성을 예측하는 AI 솔루션 개발 등이 포함됐다.
![](/data/kuk/image/2025/02/11/kuk20250211000242.524x.0.jpg)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단은 오는 3월20일부터 23일까지 열리는 제40회 국제의료기기·병원설비 전시회(KIMES 2025)에 10대 대표과제 홍보 부스를 설치할 예정이다. 성과 포스터 및 장비 등을 전시하고 의료기기 관계자들에게 제품 시연의 기회를 제공한다.
정부는 “정부의 연구개발 지원이 의료기기 산업의 발전을 견인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