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kuk/image/2021/02/18/kuk202102180187.800x.0.jpg)
정부가 전국 권역책임의료기관의 치료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올해 812억원의 국비를 투입한다.
보건복지부는 이러한 권역책임의료기관 시설·장비 지원사업을 13일 공고했다.
권역책임의료기관은 고난도 필수의료 진료를 제공하고, 권역 내 의료기관 간 협력체계를 기획·조정하는 리더격인 병원이다. 지난 2019년부터 지역 국립대병원을 중심으로 지정했다. 2025년 현재는 모든 시·도에 권역책임의료기관 17개가 지정돼 운영되고 있다.
정부는 2023년 10월 ‘필수의료 혁신전략’을 발표하며 수도권 대형병원에 가지 않더라도 지역에서 중증·응급 진료가 완결될 수 있도록 국립대병원 등 권역책임의료기관을 수도권 대형병원 수준으로 육성하겠다는 정책 방향을 발표한 바 있다. 이후 거점 국립의대 전임교원 1000명 증원, 보건의료 연구개발(R&D) 투자 확대 등을 추진해왔다.
복지부는 이번 지원사업을 통해 권역책임의료기관의 중증·고난도질환 치료 역량을 획기적으로 강화한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권역책임의료기관에 △수술실 현대화 △중증질환 치료 첨단장비 구축 등을 지원한다. 또 지역 최상위 병원으로서 중환자 진료체계를 선진화할 수 있도록 △중환자실 시설·장비 개선 △특수 중환자실 확충 등을 지원한다. 재정 투자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각 권역책임의료기관이 마련한 사업계획서를 토대로 현장 수요 맞춤형 투자가 진행될 예정이다.
복지부는 관련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회를 구성해 각 병원이 제출한 사업계획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현장평가 등의 심의를 거친 뒤 기관별 최종 지원 규모를 확정할 계획이다. 정통령 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은 “지역 완결적 필수의료체계 구축을 위해선 권역책임의료기관이 확고한 임상적 리더십을 갖춰야 한다”며 “올해부터 본격 추진될 의료개혁 재정 투자를 통해 거점병원의 최종 치료 역량을 제고해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지역의료 확충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