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월 31일 (월)
바뀌는 과수 재배 지도…‘토종 다래’ 주목

바뀌는 과수 재배 지도…‘토종 다래’ 주목

전남산림연구원, 현장토론회 열고 재배 기술·품종 보급·산업화 방안 등 모색

기사승인 2025-02-18 11:31:31
전남산림연구원은 새로운 산림소득 작목으로 각광받는 토종 다래의 우수성을 알리고, 재배임가를 육성하기 위해 지난 13일 품종별 특성 및 재배관리 방안 현장토론회를 개최했다. /전남산림연구원
신영삼 기자
news032@kukinews.com
지구온난화로 인한 전남지역 산림과수 주산지가 바뀌고 수확이 줄면서 임업인들의 새 산림소득 작목으로 토종 다래가 주목받고 있다.

다래(Actinidia arguta)는 다래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덩굴식물로 국내 산야 해발고 1600m 이하 계곡 부위에 자생하며 5월에 피는 흰 꽃은 아름답고 향기로워 관상 가치가 높고, 꿀이 많아 밀원식물로도 가치가 있다.

청정임산물인 다래는 당도가 높고 양다래(키위)와 달리 껍질째 먹을 수 있으며 어린 새순은 사포닌 함량이 높고, 식이섬유가 풍부해 나물로 섭취한다. 

이른 봄 채취한 수액은 칼슘, 칼륨 등 미네랄 함량이 87%로 고로쇠처럼 고급 수액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다양한 가공식품으로의 개발이 기대된다.

쓰임새가 많은 다래는 다른 품목에 비해 덩굴성으로 높게 크지 않아 수형관리, 병해충 방제, 수확 등 재배 관리가 쉬워 최근 재배면적이 꾸준히 늘고 있다. 

전남산림연구원은 이처럼 새로운 산림소득 작목으로 각광받는 토종 다래의 우수성을 알리고, 재배임가를 육성하기 위해 지난 13일 품종별 특성 및 재배관리 방안 현장토론회를 개최했다.

설명회는 다래 재배기술 및 품종 보급, 다래 산업화 방안 모색을 위해 국내 개발 다래 품종 현황과 재배 관리(김철우 연구사), 다래 주요 병해충 특성 및 방제 기술(정충렬 연구사), 다래 수확 후 관리(김용현 박사), 다래 가공품 개발 현황 및 제조 방법(양천은 연구사), 다래 대사체 특성 및 활용(이경태 연구사)에 대한 전문가 주제 발표 후 참석자들의 질의응답 및 토론 형태로 진행됐다. 

또 전남지역 다래 보급 확대를 위해 다래 와인, 음료, 젤리, 푸딩 등 다양한 가공 제품을 소개했다.

오득실 원장은 “이상기후 발생으로 전남지역 산림과수 주산지가 변동되는데다, 수확량도 줄어 임업인의 안정적 소득원 확보를 위한 대체작목이 필요하다”며 “전남 기후 조건에 적합한 신품종 육성과 새로운 고부가 소득 품목으로 다래 시장이 확대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신영삼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저성장 한파’ 몰려온다…韓 경제성장률 2.2→1.5% ‘뚝’

국회예산정책처(NABO)가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을 1.5%로 대폭 하향 조정했다. 통상 불확실성과 국내 정치 혼란에 따른 소비 위축이 확대된 영향이다.예정처는 31일 발표한 2025년 경제전망에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2%에서 1.5%로 0.7%포인트(p) 하향 조정했다. 기획재정부(2.2%→1.8%), 한국개발연구원(KDI)(2.0%→1.6%), 한국은행(1.9%→1.5%), 경제협력개발기구·OECD(2.1%→1.5%) 등 최근 국내외 주요 기관들이 성장률 전망치를 낮추고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