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책위는 “최근 도가 제시한 GJC-GD 합병안은 명확한 해결책이 없고 당장의 파산을 모면하기 위한 미봉책이다”며 “GD까지 공멸할 수 있는 최악의 결과를 발생시킬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도가 제시한 합병안은 '2050억원의 대위변제금을 받지 못하는 것'은 존속시와 동일하나 500억원을 투입하면 회생이 가능하다는 장밋빛 미래를 제시하고 있다”며 “합병 시 500억원만 투입해 진행되면 중도 토지의 온전한 존속과 기존 문제가 일거에 해결되는 것처럼 호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이는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고 도민과 의회를 기만하는 행위이다. 합병이 진행되려면 2018년 8월 체결된 ‘레고랜드 권리의무변경동의안’에 따라 멀린과의 문제가 해결돼야 하지만 집행부는 아무런 입장을 발표하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멀린의 동의가 있더라도 합병을 하기 위해서는 최소 1400억원 이상의 현금성 혈세와 2050억원의 대위변제금을 모두 탕감하고도 GD에 2000억원대의 중도 토지를 조건 없이 출자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레고랜드 발 중도사태를 해결하는 유일한 길은 더 이상의 개발행위를 중단하고 모든 부지를 전처럼 역사생태문화가 숨 쉬는 도민 휴게공간과 공원으로 돌려놔야 한다”며 “발등의 불을 끄기 위한 미봉책이 아니라 도민과 전국민이 동의하는 해결방안이 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대책위는 GJC-GD 합병 즉각 중단, 김진태 도지사의 대도민 사과문 발표, 원인규명‧책임자 문책 및 근본적 해결방안 제시, 역사생태문화공원 반환 등을 집행부와 도의회에 요구했다.
나철성 강원평화경제연구소장은 “2024년 GD 부채비율이 326%로 추정되고 있는데 오히려 당기 순이익이 29억원으로 감소했다. 이는 인위적인 재무 여건 개선이다”며 “아직도 알펜시아 부채로 3271억원이 남아있는데 GJD와 합병이 된다면 부실한 경영재무 상황으로 제2의 알펜시아가 되는 꼴”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정재웅 강원도의원은 최근 제334회 임시회 5분 자유발언에서 “GJC가 도에 대해 가지고 있는 채무 조정을 검토하며 도민 이익은 전혀 고려되지 않고 있다”며 “도민 입장에서 이는 모두 배임행위다”라고 비판했었다.
한편 도는 최근 춘천 하중도 관광지 정상화를 위해 GJC를 청산하고 GD에 영업양수도를 하는 것이 합리적 대응방안이라고 공식적으로 제시함에 따라 도의회 및 시민단체와의 논란이 불가피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