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F-21 '보라매'는 대한민국이 개발 중인 4.5세대 초음속 전투기로, 지난 2022년 7월 19일 최초비행에 성공했다. 2023년 5월 15일 잠정전투용 적합 판정을 받았고, 2024년 6월 25일 최초양산 계약을 체결했다. 같은 해 11월 28일에는 무사고 1000 소티(Sortie) 비행을 달성했다.
앞으로 계획된 약 1000 소티의 시험비행을 마친 후 오는 2026년부터 일선 전투비행단에 배치될 예정이다. 개발이 완료되면 대한민국은 미국, 러시아, 유럽 등에 이어 초음속 전투기 독자 개발 국가가 된다.
이날 이 총장은 시험비행조종사 우홍균 소령과 함께 KF-21에 탑승해 조종특성과 항공전자장비 정확도 등을 점검하는 시험비행을 수행하며 우수성과 안전성을 확인했다.
이 총장은 F-5, F-16, F-15K 등 공군의 주력 기종들을 조종해 2800시간 이상 비행한 베테랑 조종사다. F-15K 도입요원으로 지난 2005년 국내 첫 인도분 두 대 중 한 대에 탑승해 미 본토에서 성남기지까지 비행했던 전력도 있다. 이 총장은 F-15K 1세대 조종사이자, F-35A 첫 비행단장으로서 F-15K와 F-35A의 전력화에 크게 기여했다.
이 총장과 함께 비행한 우홍균 소령 역시 1500시간의 비행시간을 보유한 시험비행 조종사다. 우 소령은 2019년 개발시험비행 교육과정을 수료하고, 2023년부터 KF-21 시험비행을 실시해오고 있다. KF-21의 최대 속도 시험비행과 최대 중력가속도 시험비행을 처음 수행하기도 했다.
이 총장은 남해안 약 4500M 상공에서 1000Km/h 이상의 속력으로 비행하며 KF-21의 안정적인 공중작전 수행능력을 점검했다. 또한, 우리 공군의 주력 전투기인 KF-16과 함께 비행하며, 타 기종과의 전술 운용 능력도 검증했다.
또한, KF-21에 장착된 국산 능동위상배열(AESA: Active Electronically Scanned Array) 레이다의 성능도 확인했다. AESA 레이다는 국방과학연구소가 개발하고 한화시스템이 생산하고 있다.

이어 "우리 대한민국이 만든 전투기의 탁월한 성능을 공중에서 점검해보면서 실로 뜨거운 감회를 느끼며, 20년 만에 우리가 바로 그런 대단한 나라가 됐다는 자부심이 느껴진다"며, "KF-21로 대한민국을 수호할 후배들이 부러워졌다. 파워와 기동은 물론, 항전장비, 무장능력에 있어 세계 탑클래스 전투기와 나란히 할 수 있을 것이라는 확신고 함께 KF-21은 K-방산의 가치를 한층 끌어올릴 명품 전투기로 이름 날릴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이 총장은 앞서 지난 17일 KF-21 사업추진평가회의를 주관하며, 체계 개발과 양산사업 추진 현황을 점검했다.
사천=강연만 기자 kk77@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