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문제’ 해외 리콜제품, 국내서 1336건 적발…소비자원 유통차단

‘안전문제’ 해외 리콜제품, 국내서 1336건 적발…소비자원 유통차단

기사승인 2025-02-25 10:30:50
해외에서 리콜됐으나 국내 유통이 확인된 제품들의 리콜 사유. 한국소비자원

해외에서 안전성 문제로 리콜된 제품이 국내에서 판매되는 경우가 매년 증가하고 있어 소비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한국소비자원은 지난해 중국·미국·유럽 등 해외에서 리콜된 제품의 국내 유통 현황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 등을 통해 모니터링한 결과 총 1336건을 적발하고 유통(577건)과 재유통(759건)을 차단했다고 25일 밝혔다.

안전상의 문제로 유통이 차단된 제품이 다시 유통돼 재조치 한 경우는 759건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해에는 알리·테무 등 해외직구 플랫폼을 통한 거래가 급증하면서 해외에서 리콜된 제품이 유통 또는 재유통될 수 있는 경로가 다양해졌다는 설명이다.

소비자원은 해외직구 플랫폼을 재유통 집중 모니터링 대상에 포함시키고, 전년(513건) 대비 48.0%(246건) 늘어난 759건을 차단 조치했다. 재유통 채널별로 보면 국내 오픈마켓이 418건, 해외직구 플랫폼이 341건이었다. 이 가운데 ‘가전·전자·통신기기’ 품목의 재유통(299건, 39.4%)이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소비자원은 “해외리콜 제품은 정식 수입사를 통한 유통보다 구매대행 등을 통하는 경우가 많다”며 “기존 판매처에서 판매를 차단한 제품이라도 다른 사업자나 유통 채널을 통해 다시 유통될 수 있다”고 주의를 당부했다.

지난해 해외에서 리콜됐으나 국내 유통이 확인돼 차단 시정조치 한 실적은 577건이다.

품목별로는 ‘음식료품’이 155건(26.9%)으로 가장 많았고, ‘가전·전자·통신기기’ 149건(25.8%), ‘아동·유아용품’ 84건(14.6%) 등 순이었다. 품목별 리콜 사유를 살펴보면 ‘음식료품(155건)’은 유해물질 및 알러지 유발성분 함유가 89건(57.4%)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이물질 함유 28건(18.1%), 부패·변질이 25건(16.1%) 등으로 나타났다. 유해물질 및 알러지 유발성분 함유로 인해 리콜된 음식료품 중에서는 해당 성분(대두, 땅콩, 우유, 밀 등)이 라벨에 표시되지 않은 경우가 26건으로 가장 많았다. 

‘가전·전자·통신기기(149건)’는 전기적 요인(감전위험, 기준 부적합 등)이 40건(26.8%)으로 가장 많았고, 과열·발화·발연이 34건(22.8%), 화학·유해물질 함유가 31건(20.8%)을 차지했다. 특히 전기적 요인으로 리콜된 가전·전자·통신기기 중에서는 접지 및 절연 등이 미흡해 감전 위험이 있는 제품이 15건으로 가장 많았다.

‘아동·유아용품(84건)’은 부품탈락, 삼킴 및 질식위험으로 인한 리콜이 32건(38.1%)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유해물질 함유로 인한 리콜이 19건(22.6%)이었다. 아동·유아용품 중에서는 소형 부품이 탈락될 우려가 있는 장난감 및 아기용품 등이 24건으로 가장 많았다.

제조국 중에서는 중국이 가장 많았다. 해외리콜 제품 577건 중 제조국 정보가 확인된 305건을 살펴본 결과, 중국에서 생산된 제품이 191건(62.6%)으로 가장 많았고, 미국산이 33건(10.8%)으로 뒤를 이었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정부부처 합동 ‘해외 위해물품 관리 실무협의체’에 참여하고 있는 관계 기관들은 안전성 검사, 리콜 정보 등을 토대로 해외 위해제품 차단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해외직구·구매대행 등을 통해 제품을 구입할 경우,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과 소비자24에서 리콜된 제품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건주 기자
gun@kukinews.com
김건주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