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7일 (월)
‘필수의료 최전선’ 권역외상센터 17곳 중 9곳 전문의 10명 미만

‘필수의료 최전선’ 권역외상센터 17곳 중 9곳 전문의 10명 미만

1월 말 기준 권역외상센터 전문의 188명
원광대병원·목포한국병원·경상국립대병원 5명 이하

기사승인 2025-03-04 10:42:41
서울의 한 대학병원 응급의료센터 안으로 의료진이 들어가고 있다. 곽경근 대기자
신대현 기자
sdh3698@kukinews.com

중증외상 환자를 치료하는 전국의 권역외상센터 17곳 중 9곳은 전담전문의 수가 10명이 채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한지아 국민의힘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 말 기준 전국 17개 권역외상센터 전담전문의 수는 188명이었다. 전담전문의 수는 2017년 176명에서 2021년 199명으로 꾸준히 늘었으나, 2022년과 2023년 189명, 2024년 187명으로 감소했다.

권역외상센터는 외상으로 인한 다발성 골절, 과다 출혈 등으로 생명이 위독한 중증외상 환자에게 응급수술과 치료를 제공하는 외상 전담 치료기관으로 국립중앙의료원을 포함해 전국 17곳에 설치됐다.

전국 권역외상센터 17곳 중 전담전문의 수가 10명 미만인 곳은 총 9곳이었다. 안동병원은 9명, 원주기독병원과 의정부성모병원, 경북대병원, 국립중앙의료원은 8명이었다. 대전을지대병원은 6명이었다. 전문의 수가 5명 이하인 곳은 3곳으로 원광대병원 4명, 목포한국병원 5명, 경상국립대병원 5명이었다.

권역외상센터는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 따라 외과, 심장혈관흉부외과, 정형외과, 신경외과 전문의 각 1명을 두어야 한다. 이 점을 고려할 때 일부 지역 권역외상센터는 최소 인원으로 센터를 운영하는 셈이다.

특히 지방 권역외상센터는 전문의 이탈이 가속화하는 모양새다. 목포한국병원, 원주기독병원, 원광대병원은 2017년과 비교해 전문의 수가 절반가량 감소했다. 서울의 유일한 권역외상센터를 운영하는 국립중앙의료원도 최근 마취과 의료진이 부족해 응급수술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신대현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강하늘·유해진·박해준 다 모였다…정치물 아닌 액션물 ‘야당’

제목만 보고 소재를 오해하기 쉽지만, 라인업만큼은 화려한 범죄액션물 ‘야당’이 베일을 벗었다. 7일 서울 삼성동 메가박스 코엑스에서 영화 ‘야당’ 기자간담회가 열렸다. 현장에는 배우 강하늘, 유해진, 박해준, 류경수, 채원빈, 황병국 감독이 참석했다. ‘야당’은 대한민국 마약판을 설계하는 브로커 ‘야당’, 더 높은 곳에 오르려는 ‘검사’, 마약 범죄 소탕에 모든 것을 건 ‘형사’가 서로 다른 목적을 가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