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트럼프 정부의 자동차·부품 25% 관세 폭탄에 대구 지역 자동차부품 업계가 비상이 걸렸다.
대구시는 3일 산격청사에서 자동차 관련 기관과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5월 초 ‘유관기관 통합 수출 설명회’ 개최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대구의 대미 수출에서 자동차부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20%(4억1800만 달러)로 1위를 기록했다.
특히 대구 자동차부품 업체 대다수가 중간재를 공급하는 협력사여서 관세 부과로 인한 가격 경쟁력 하락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대구상공회의소는 “납품 단가 인하 압박과 현지 생산 전환 움직임이 확대될 것”이라며 우려를 표했다.
이날 회의에서 대구정책연구원은 자동차 관세 부과에 따른 지역 영향 분석 및 현황에 대해 발표했다.
한국자동차연구원은 정부 차원의 정책 방향과 관련 업계의 지원방안을 소개했다.
코트라는 관세 상담창구(관세대응119)와 해외 무역관 헬프데스크를 가동해 기업 지원에 나서기로 헸다.
대구시는 오는 8~9일 ‘원스톱기업지원박람회’에서 맞춤형 관세 컨설팅을 실시하고, 5월 초까지 기관별 대응책을 마련하고 유관기관 통합 설명회를 열 계획이다.
정장수 대구시 경제부시장은 “미 정부의 불안정한 관세정책으로 인해 지역기업의 대미 수출에 상당한 어려움이 예상된다”며 “특히 대미 수출 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 자동차 산업의 경우 관련 유관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으로 다양한 수출 지원 방안을 마련토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