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폭탄에 일부 국가는 협상단을 미국으로 보내 관세 인하 방안을 모색하는 등 각국이 대응책 마련에 힘을 쏟고 있다. 또 강력한 보복 관세로 맞대응에 나선 곳도 있다.
외신을 종합하면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효를 하루 앞둔 8일(현지시간) 유럽연합(EU)은 협상을 제안하면서도 미국이 응하지 않으면 대응 조치에 들어갈 수 있다고 압박했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이날 “미국과 협상할 준비가 돼있다”며 상호 무관세를 제안했다고 밝혔다. 다만 “우리도 우리의 이익을 방어하기 위해 대응조치에 나설 준비가 돼있다”고 말했다.
EU 27개국은 이날 열린 무역장관 회의에서도 협상이 우선이라는데 뜻을 모으면서도 EU의 이익을 보호하는 수단을 마련해 두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중국은 “국제 규칙보다 미국 우선주의를 앞세우는 것은 경제적 괴롭힘”이라고 주장하며 미국산 제품에 대한 34% 보복관세로 강력 대응에 나섰다.
아시아 각국은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하거나 무역 대표단을 미국에 보내 협상을 시도하고 있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이날 트럼프 대통령과 25분간 전화 통화로 관세 문제를 협의했으며 후속 협상을 위한 팀을 파견하기로 했다. 한국은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이 8~9일 미국을 찾아 대미 협상을 시도한다.
베트남은 대미 관세를 0으로 낮추겠다며 유화적인 제스처를 보냈다. 파키스탄도 이달 미국에 대표단을 파견해 관세 협상 방안을 모색한다. 말레이시아는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차원의 공동 대응 방안 마련에 나선다.
인도네시아는 미국산 밀과 면화, 석유, 가스 등의 수입을 늘려 대미 무역흑자를 줄이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필리핀은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인하하겠다고 나섰고 캄보디아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서한을 보내 19개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인하를 약속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과 회담을 요청한 나라들과 즉각 협상이 시작될 것”이라며 협의에 응하겠다는 태도를 보였다. 다만 무역적자가 사라지지 않으면 관세 유예나 철회는 없다는 입장도 고수했다.
보복 조치에 나선 중국에 대해서는 50%의 추가 관세 부과하겠다고 압박했다.
백악관은 특히 일부 국가가 대미 관세를 낮추겠다고 제안할 것과 관련해서는 관세가 전부가 아니라며 의미 없는 조치라고 일축했다. 부가가치세나 정부 보조금과 같은 비관세 장벽에 대한 조치가 뒤따라야 한다는 압박이다.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은 CNBC에 출연해 “중요한 것은 비관세 사기(cheating)”라며 “제로 관세라는 것에 오도돼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