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5일 (월)
전주 완산칠봉에 난대성 호랑가시나무 생육

전주 완산칠봉에 난대성 호랑가시나무 생육

한승우 전주시의원, 완산칠봉 식물생태 1년 여 관찰결과 공개
난대성 상록활엽수 구골나무, 꽝꽝나무, 식나무, 광나무 등 생육 확인
기후변화에 더해 도시열섬화 영향으로 판단

기사승인 2025-04-21 11:06:37
한승우 전주시의원
김영재 기자
jump0220@kukinews.com

기후변화로 전북 전주시 완산칠봉에도 남부 해안가와 도서지역에 주로 생육하는 호랑이가시나무가 뿌리를 내렸다. 

환경운동가 출신인 한승우 전주시의원(삼천1·2·3동, 효자1동)은 전주시 완산칠봉(해발184.2m)에 호랑가시나무 등 난대성 상록활엽수가 매우 폭넓고 안정적으로 생육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21일 밝혔다.

한 의원에 따르면 지난해 4월부터 1년 여 관찰한 결과, 완산칠봉에 생육하는 호랑가시나무는 1~2년생부터 20여 년간 자란 것으로 보이는 나무까지 100여 개체가 완산칠봉 전역에서 안정적으로 생육하고 있는 것을 파악됐다.  

남부 해안가와 섬 지역에 주로 생육하고 전북 부안군과 군산시 어청도 등이 북방한계선으로 알려졌던 호랑가시나무가 내륙 지역인 완산칠봉 등에서 생육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서 기후변화와 도시열섬현상에 따른 자연생태계의 변화를 확연히 보여주고 있다.

한 의원은 이번 조사에서 호랑가시나무와 함께 주로 남해안과 제주도 등에서 생육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난대성 상록활엽수인 구골나무와 꽝꽝나무, 식나무, 광나무 등도 완산칠봉에 생육하는 것을 확인했다.

전주 완산칠봉에서 뿌리를 내린 호랑가시나무 (사진= 한승우 전주시의원)

한 의원은 “이러한 조사결과는 호랑가시나무 등 난대성 상록활엽수가 전주시 완산칠봉에서 일시적 또는 인위적으로 생육하는 것이 아니라 확연한 기후변화와 도시열섬화 현상으로 자생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한 의원이 기상청 관측자료를 확인한 결과, 전주시의 기후 변화는 1920년대(1920~29) 평균기온이 11.93℃에서 2010년대(2010~19)에 13.77℃로 평균기온이 약 1.8℃ 상승한 것을 확인했다. 

난대성 수종의 생육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겨울철 최저기온은 1920년대 1월 평균기온이 –1.75℃에서 2000년대(2000~09) 들어 +0.39℃로 약 2℃ 가량 상승, 전주시의 1월 평균기온이 2000년대 들어 처음으로 0℃ 이상으로 상승했다.  

한 의원은 “전주 완산칠봉에 호랑가시나무 등 난대성 상록활엽수가 생육하는 것은 전주시의 평균기온이 상승, 겨울철 평균기온이 2℃ 이상 올라가면서 발생한 자연생태계 변화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호랑가시나무가 전주 모악산에서는 생육이 확인되지 않은데 반해 완산칠봉에 생육하는 것은 지구적인 기후변화보다 도시열섬화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판단된다”며 “도시열섬현상에 대책 마련과 함께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생태계 변화를 최소화하는데 힘을 합쳐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영재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좌석도 200분 기립…엑스디너리 히어로즈, 천장 뚫은 올림픽홀과 뜨거운 안녕

“콘서트 마지막날 목표가 있다. 천장 뚫어야 한다. 오늘 공연을 끝으로 더 넓은 곳 가서 놀고 싶다.” (주연)밴드 엑스디너리 히어로즈(Xdinary Heroes)가 풍성한 밴드 사운드와 폭발적인 라이브로 빌런즈(팬덤명)와 함께 목표를 달성했다.엑스디너리 히어로즈(건일, 정수, 가온, 오드, 준한, 주연)는 5일 오후 서울 방이동 올림픽공원 올림픽홀에서 월드투어 ‘뷰티풀 마인드’ 서울 단독 공연을 개최했다.‘뷰티풀 마인드’는 엑스디너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