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보 30분 안에 병원·마트까지…서울시, ‘보행일상권’ 시동

도보 30분 안에 병원·마트까지…서울시, ‘보행일상권’ 시동

기사승인 2025-04-22 14:39:24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 분수대에서 시민들이 햇빛을 가리며 이동하고 있다. 유희태 기자

서울시가 시민들이 도보 30분 내에서 생활편의·여가·돌봄·학습·공공서비스 등 다양한 기능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서울형 보행일상권’ 조성에 나선다.

시는 22일 서울 지역 8곳에서 시범사업에 본격 착수한다고 밝혔다. 보행 일상권은 멀리 이동하지 않고 집 근처에서 생활편의, 여가, 돌봄, 학습, 공공서비스 등 여러 일상을 누리는 자족적 생활권이다.

앞서 시는 지난해 2040 서울 도시기본계획의 7대 목표 중 하나로 ‘보행일상권’ 도입을 발표했다. 서울연구원에 따르면 서울 시민은 소비 활동을 위해 하루 평균 5.32km를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가 목표로 하는 ‘직경 3km 내 생활권’보다 훨씬 먼 거리다.

이를 위해 시는 지난 9일 시범 대상지 8곳을 선정했다. 대상지는 △평창·부암(종로구) △금호·옥수(성동구) △청량리(동대문구) △신길(영등포구) △정릉(성북구) △수유(강북구) △홍제(서대문구) △양재(서초구)다.

이번 시범사업은 보행일상권 실현을 위한 계획 마련이 목적이다. 시는 역세권 등 주요 거점을 중심으로 한 보행 일상권 조성 계획과 보행 일상권 내 필수시설의 확충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접근성 향상을 위한 생활가로의 네트워크 구축 방안도 마련한다.

시는 오는 9월까지 ‘보행 일상권 조성계획 기준’을 세우고, 보행 일상권을 향후 서울 전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대상지별 보행일상권 필수시설 현황을 면밀히 분석하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시설 확충 방안도 함께 마련한다.

향후 공급 방안과 관련해 공공시설의 경우 기부채납이나 공공기금 등을 활용하고, 민간시설은 지구단위계획 내 권장 용도로 유도하는 방안 등도 제시할 예정이다.

이를 바탕으로 시는 △도시관리계획 및 정비사업 △소규모 정비사업 △도시재생사업 △역세권사업 등의 개발 계획 수립 시, 생활서비스시설 확충 근거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시범사업은 서울형 보행일상권을 전면 도입하기에 앞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첫 단계”라며 “앞으로 서울 전역에 100개 이상의 ‘작지만 강한’ 자족형 생활권을 순차적으로 조성해 시민의 일상에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이예솔 기자
ysolzz6@kukinews.com
이예솔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