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랜드노조 “비상경영 인력 전환 배치 부당…특별관리감독 필요”

이랜드노조 “비상경영 인력 전환 배치 부당…특별관리감독 필요”

기사승인 2025-05-28 16:43:07 업데이트 2025-05-28 17:11:53
이랜드노동조합이 28일 서울 장교동에 위치한 고용노동부 서울청에서 피켓을 들고 있다. 이랜드노동조합 제공 

이랜드노동조합은 28일 기자회견을 열고 이랜드리테일이 ‘비상경영’ 체제에 돌입해 인력 전환 배치에 나선 것을 두고 부당한 인사발령이라고 주장했다.

노조는 “이랜드리테일이 ‘비상경영’을 내세우며 부당한 인사 발령과 직장 내 괴롭힘을 자행하고 있다”며 “고용노동부는 즉각 특별 근로감독을 실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노조에 따르면 현재 회사 측은 정년 연장 법안 발의를 앞두고 희망퇴직을 받거나 관리직 직원들에게 물류센터로 발령을 강행하는 방식으로 구조조정을 시도하고 있다. 노조는 “특히 1969~1975년생 관리직 직원 일부에게 원거리 물류센터로 전환 배치를 계획 중이며, 기존 업무가 아닌 상품 ‘택갈이’와 물류 관리 업무를 전가하려는 것은 사실상 인력 구조조정”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주차·보안 도급업체와의 계약 해지로 다수의 비정규직을 대량 해고하고 그 빈자리를 정규직에게 떠넘기는 행태도 문제 삼았다. 노조는 “지원 업무 명목으로 암묵적인 강요, 휴무 조정, 비부가 업무 강요 등이 이어지며 직장 내 괴롭힘이 발생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랜드노동조합은 “회사의 경영 리스크 책임을 노동자에게 전가하는 ‘비상경영’은 기업식 구조조정을 통한 자연 정리해고의 꼼수”라며 “이는 노동자의 생존권을 위협하고 고용 불안을 가중시키는 불법 행위”라고 규탄했다.

끝으로 노조는 고용노동부에 “더 이상 이랜드리테일의 반노동적 행태를 방관하지 말고 철저한 조사와 엄정한 처벌로 노동자의 권리와 고용안정을 지켜달라”고 요구했다.

이에 대해 이랜드리테일은 최근 오프라인 유통업계 전반의 매출·수익성 하락 속에서 위기 극복과 고용 유지를 위한 대안 마련 차원이라고 해명했다. 

이랜드리테일 관계자는 “물류센터 배치는 개인의 건강·출퇴근·가족돌봄 등을 고려해 선정했으며, 1일 근로시간을 7시간으로 단축하고 교통비·통근버스를 지원한다”며 “또한 사전 직무·안전교육을 실시했고, 3개월 후 추가 상담을 통해 개인 고충을 살필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이랜드리테일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2019년 2조1123억원, 1589억원에서 지난해 1조5649억원, 300억원으로 줄었다.
심하연 기자
sim@kukinews.com
심하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